"우리는 지금 광기의 역사 속에 살고 있는가?"
배제와 소외의 칼날이 광인을 향했던 시대,
그 역사는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배제와 소외의 칼날이 광인을 향했던 시대,
그 역사는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강의 개요
푸코 연구의 권위자 이정우 교수가 『광기의 역사』 제1부를 정밀하게 강독한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고전주의 시대까지, 광기 인식의 변화를 추적하며 차별과 타자화의 메커니즘을 해부한다.
6강
총 강좌
24교시
세부 강의
9시간
강의 시간
제1부 5개 장의 여정
제1장
광인들의 배
제2장
대감호(大監護)
제3장
비행(非行)의 세계
제4장
광기의 경험
제5장
정신이상자들
광기 인식의 역사적 전환
르네상스 시대
광기가 상상력의 옷을 입고 세상과 공존. 우주적·비극적 광기와 도덕적·비판적 광기
고전주의 시대
합리주의와 상업자본주의 등장. 부르주아 질서가 비이성을 배제하고 수용소로 격리
근대 정신의학
광기가 질병으로 재정의. 구빈원에서 정신병원으로 전환
핵심 개념들
헤테로토피아
배제된 자들을 위한 이질적 공간.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혼재공간
차별과 소외를 위한 공간. 비이성들이 함께 격리되는 장소
대감호
17세기 수용소 체제. 광인·빈민·부랑자의 대규모 감금
비이성
부르주아 가치관 밖의 존재들. 반가족적이고 반사회적인 것들
주요 탐구 주제
광기와 이성
배제의 메커니즘
수용소의 탄생
부르주아 도덕
합리주의
타자화
법적 주체
사회적 존재
동물성
파놉티콘
현대적 함의
17세기 수용소는 오늘날 정신병원과 교도소의 원형이다.
부르주아 도덕이 만든 배제의 논리는 여전히 작동한다.
장애인, 이주민, 성소수자 등 타자화되는 존재들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얻게 된다.
이 강의의 특별함
▪ 푸코 전문가 이정우 교수의 명쾌한 해설
▪ 난해한 텍스트를 역사적 맥락과 함께 체계적으로 독해
▪ 과거의 역사를 현재의 문제와 연결하는 통찰
▪ 권력·지식·정상화 등 푸코 철학의 핵심 응축
▪ 배제와 차별의 구조에 대한 근본적 성찰
추천 대상
▫ 푸코를 처음 접하는 독자
▫ 현대 사회의 배제와 차별에 관심 있는 이들
▫ 철학과 역사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이들
▫ 정신의학·사회학·법학 등 인접 학문 전공자
▫ 권력과 지식의 관계에 대해 사유하고 싶은 이들
강사: 이정우 교수
철학자, 경희사이버대 교수.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
고대철학과 현대철학,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가로지르며 새로운 존재론을 모색.
들뢰즈 리좀 총서 편집인.
배제의 고고학, 타자화의 계보학
광기의 역사는 차별의 역사다. 푸코가 보여준 것은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권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다. 이정우 교수와 함께 배제의 역사를 항해하며, 더 나은 세계를 사유하는 새로운 나를 만나게 될 것이다.
광기의 역사는 차별의 역사다. 푸코가 보여준 것은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권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다. 이정우 교수와 함께 배제의 역사를 항해하며, 더 나은 세계를 사유하는 새로운 나를 만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