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Ⅱ

죽음욕동을 넘어서
강사: 이정우 | 14강 36교시 | 13시간 52분
쾌락원칙을 넘어서면 무엇이 있을까?
프로이트는 죽음욕동이라 답했고, 들뢰즈는 수동적 종합이라 답했다
인간은 왜 불쾌한 경험을 반복하는가? 트라우마를 꿈에서 되풀이하고, 신경증적 패턴을 강박적으로 반복하는 것은 쾌락원칙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프로이트는 이 반복강박을 설명하기 위해 죽음욕동 개념을 도입했다. 들뢰즈는 여기서 다르게 답한다. 반복강박은 습관에서의 수동적 종합이 쾌락원칙보다 선재함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에로스와 타나토스, 그 너머
에로스
삶욕동
성욕동
사랑과 결합
타나토스
죽음욕동
자아욕동
해체와 회귀
들뢰즈: 이원론을 넘어 차이생성의 존재론으로
프로이트에서 들뢰즈로: 강의의 여정
1
프로이트 『쾌락원칙을 넘어서』 정밀 독해
2
쾌락원칙, 반복강박, 에로스와 타나토스
3
들뢰즈의 차이생성 존재론과 개체화의 장
4
수동적 종합, 습관, 애벌레-자아
5
잠재적 대상과 순수과거 (베르그송)
6
시간의 텅 빈 형식과 영원회귀 (니체)
핵심 개념들
수동적 종합
쾌락원칙의 선험적 조건, 습관에서의 반복
차이생성
강도와 특이성의 장에서 일어나는 분화
잠재적 대상
부재함으로써 존재하는 순수과거의 대상
애벌레-자아
이드 안에 우글거리는 국소적 자아들
나르시시즘
사물에서 자기-이미지를 훔쳐내는 응시
영원회귀
같은 것이 아닌 차이의 반복
이런 분들께
고난도 강의 주의: 들뢰즈 입문자에게는 부적합합니다. 『차이와 반복』 읽기 Ⅰ 선수강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 들뢰즈 철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분
✓ 정신분석학과 철학의 접점에 관심 있는 분
✓ 프로이트, 베르그송, 라캉의 사상을 깊이 이해하고 싶은 분
✓ 차이철학, 생성존재론을 탐구하는 연구자
✓ 14강 완강의 의지가 있는 분
수강생들의 목소리
"프로이트를 먼저 설명하고 들뢰즈로 넘어가니 이해에 큰 도움이 됐다."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를 넘나드는 이정우 교수님의 박식함에 감탄했다."
"빨주노초파남보 서랍장 비유가 신선했다. 차이생성 개념이 명확해졌다."
"14강까지 완강했다. 어려웠지만 철학 공부의 큰 전환점이 되었다."
"영원회귀를 차이의 반복으로 재해석한 것이 철학적으로 아름답다."
◆ ◆ ◆
죽음이 아니라 차이생성을
반복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들뢰즈의 사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