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핵심
거울은 어떻게 근대적 자아를 탄생시켰을까? 사진은 왜 인상주의를 낳았을까? 영화는 시간 개념을 어떻게 바꾸었을까? 이 강좌는 500년 매체 발전사를 통해 인간 의식의 변화를 추적합니다. 맥루언의 통찰처럼 '매체는 메시지'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도구가 곧 우리를 규정합니다.
매체의 진화 여정
거울의 발명 (5세기)
베네치아의 주석 박막 거울이 반성적 자기의식을 낳다. 데카르트의 근대적 주체가 탄생한 순간.
사진의 등장 (19세기)
순간을 포착하는 기술이 현실 인식을 바꾸다. 인상주의와 사실주의의 탄생 배경.
영화의 혁명 (20세기)
움직이는 이미지가 시간 개념을 재구성하다. 일회성을 넘어선 유사반복성의 존재론.
텔레비전 시대
사건의 반복 가능성이 본질을 넘어서다. 전자기적 매체가 일상을 지배하기 시작.
디지털 혁명 (현재)
라이프니츠의 이진법이 현실화되다. 사이버공간과 가상현실 속 인간의 운명은?
핵심 철학 개념
🎭
매체는 메시지
맥루언의 통찰. 도구가 내용보다 중요하다
🧘
현상학적 몸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으로 본 매체
🪞
거울 단계
라캉의 이론과 SNS 시대의 자아
🌐
존재론적 전환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다
18강
체계적 구성
500년
매체 역사 탐구
18시간
깊이 있는 강의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디지털 시대를 성찰하고 싶은 현대인
🎓
철학·인문학 전공자
🎨
미술·영화 애호가
💼
미디어 업계 종사자
🖥️
콘텐츠 크리에이터
🤖
AI·메타버스에 관심 있는 분
강의 특징
- 구체적 역사 사례로 시작해 철학 개념으로 심화
- 바로크 미술부터 <매트릭스>까지 풍부한 시청각 자료
- 난해한 이론을 일상 예시로 쉽게 풀어냄
- 현상학·구조주의·매체이론을 종횡무진 연결
- 사전 지식 없이도 충분히 이해 가능한 명쾌한 설명
매체 자체가 메시지라고 하는 맥루언의 통찰은 거울에서 영화 <매트릭스>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관철되는가? 살아있는 몸의 운명은, 인간의 운명은, 그리고 미래의 운명은?
매체철학의 기슭을 거닐어보세요
거울을 볼 때마다, 스마트폰을 들 때마다, 넷플릭스를 볼 때마다
당신은 매체와 함께 변화하고 있습니다.
조광제 교수와 함께 이 변화의 의미를 탐구하고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새로운 눈을 얻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