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국제정신분석학회로부터 파문당한 라캉은 고등사범학교에서 새로운 출발을 한다. 『세미나 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은 이 전환기에 탄생한 라캉 이론의 결정체다.
이 강좌는 세미나 11의 이론적 핵심을 세밀하게 해부하면서, 무의식의 구조가 어떻게 시각 예술로 확장되는지를 탐구한다.
1964년, 국제정신분석학회로부터 파문당한 라캉은 고등사범학교에서 새로운 출발을 한다. 『세미나 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은 이 전환기에 탄생한 라캉 이론의 결정체다.
이 강좌는 세미나 11의 이론적 핵심을 세밀하게 해부하면서, 무의식의 구조가 어떻게 시각 예술로 확장되는지를 탐구한다.
르네상스 화가들은 완벽한 원근법으로 '응시'를 방어했다. 그러나 다 빈치의 <모나리자>에서는 엇나간 원근법이 오히려 미묘한 응시를 드러낸다. 20세기에 이르러 예술가들은 '응시'를 전면에 노출시킴으로써 관객에게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오즈 야스지로의 공포영화, 영화 <매트릭스>, 일본 현대 공포영화까지 - 라캉 이론은 21세기 시각 문화를 해석하는 강력한 도구다.
트라우마와 데이트 폭력 - 무의식의 회귀와 운명 신경증
SNS 시대의 자기 인식 - 필터링된 이미지와의 동일시
불타는 아이의 꿈 - 현실보다 더 실재적인 무의식의 영역
라캉 이론은 단순히 추상적 사유가 아니다. 공황장애, 강박증, 히스테리 등 현대인의 정신병리를 이해하는 실천적 도구이며, 우리 삶의 욕망 구조를 성찰하게 하는 비판적 거울이다.
프로이트의 기본 개념(무의식, 억압, 전이, 충동)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더욱 수월하게 따라갈 수 있다. 응시, 스크린, 왜상 등 현대 미술 비평의 핵심 개념을 원천에서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필수 강좌다.
📖 텍스트 준비: 자크 라캉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새물결, 민승기 외 역) 병행 독서 권장
📝 강의록 활용: 시니피앙, 대타자, 대상a, 중핵의 외밀성 등 핵심 용어를 메모하며 자신만의 이해 체계 구축
⏱️ 학습 전략: 1회독(전체 흐름 파악) → 2회독(개념 간 연결고리 발견) - 교시별로 나누어 학습하며 생각할 시간 확보
📚 참고 도서: 백상현 저 『라캉 미술관의 유령들』, 『속지 않는 자들이 방황한다』
* 어렵지만 끝까지 들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평가. 2회독 시 개념들의 연결고리가 선명해진다는 후기 多
파문이라는 위기를 사상적 도약으로 전환시킨 라캉. 세미나 11은 억압된 것이 회귀하고 반복 속에서 새로운 의미가 출현한다는 정신분석학의 원리를 그 자체로 실천한다.
백상현 강사의 정밀한 독해는 르네상스 회화에서 현대 사진까지, 데카르트에서 메를로퐁티까지, 프로이트의 임상에서 현대인의 정신병리까지 종횡무진한다. 이 강좌를 통해 라캉의 세계로 들어서는 첫걸음을 내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