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미학 입문

『판단력 비판』 읽기

강의개요

서양 미학사에서 '아름다움'이 본격적인 학문의 대상이 된 것은 칸트의 『판단력 비판』 덕분이다. 이 책은 고전주의 미학의 정점을 보여주면서도 낭만주의로 나아가는 전환점을 마련했다.

핵심 질문: 왜 '미'를 논하는 책의 제목이 '판단력 비판'일까? 고대인에게 미는 객관적 존재였지만, 칸트에게 미는 주관의 판단에서 비롯된다. 아름다운 대상이 있어서 쾌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쾌감을 느끼기 때문에 그것을 아름답다고 판단한다.

강의특징

📚 번역자 직강 김상현 교수가 직접 번역한 『판단력 비판』을 바탕으로 텍스트에 충실하면서도 명쾌한 해설 제공
🔗 통합적 접근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의 개념까지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칸트 철학 전체를 조망
💬 일상적 해설 추상적 개념을 일상의 예시와 연결하여 설명. 무관심한 관심, 주관적 보편성 등의 역설적 개념이 명료하게 정리됨
📖 체계적 구성 전체 13강에서 취미판단의 네 계기(성질, 분량, 관계, 양상)를 차근차근 따라가며 학습

추천대상

✓ 혼자서 『판단력 비판』을 읽다가 좌절한 경험이 있는 분

✓ 미술, 음악, 문학 등 예술 분야 전공자 및 종사자

✓ 칸트 철학 입문을 원하는 대학생

✓ 인문학 교양을 쌓고 싶은 직장인

✓ 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원하는 일반인

수강팁

💡초반 돌파: 범주 설명이 어렵게 느껴져도 포기하지 말 것. 취미판단 부분부터 흐름이 명확해짐

📝활용법: 강의록을 프린트하여 필기하며 듣기. 김상현 교수 번역서와 함께 보면 효과 극대화

🔄재수강 권장: 2회독 이후 전체 구조가 보임. 취미판단 네 계기 중심으로 정리 노트 작성

⏯️속도 조절: 강의 속도가 빠르게 느껴진다면 재생 속도 조절하며 학습

수강후기에서

"혼자 끙끙거렸던 칸트가 이렇게 명쾌하게 정리될 줄 몰랐습니다. 심봉사가 심청을 만나 눈을 뜬 것 같아요."

• 번역자가 직접 강의하는 만큼 텍스트 이해가 정확하고 깊이 있음

• 미술관이나 전시회에서 작품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는 평가 다수

• "칸트 삼비판 중 가장 재미있다"는 평가와 함께 다른 칸트 강의 요청 이어져

마치며

칸트의 『판단력 비판』은 단순한 미학 이론서가 아니다. 인간이 왜 예술을 필요로 하는지, 감성과 이성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개인의 취향이 어떻게 보편성을 획득하는지에 대한 철학적 답변이다.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대결이 현대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 책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어렵고 험난한 여정이지만, 넘고 나면 예술과 아름다움에 대한 깊은 통찰이라는 거대한 길이 열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