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주체의 해석학』 읽기

역자와 함께하는 20시간 정밀 강독

어떻게 우리는 통치되는가?
어떻게 우리는 우리 자신을 돌볼 것인가?

푸코 후기 철학의 두 축, 통치성과 자기돌봄

8강
정밀 강독
20시간
심층 분석
2권
강의록

후기 푸코의 양대 축

권력 분석에서 저항의 윤리로

Gouvernementalité
통치성
어떻게 우리는
통치되는가?

신자유주의
생명관리정치
시장의 자연성
Souci de soi
자기돌봄
어떻게 그렇게
통치되지 않을 것인가?

자기 테크놀로지
진실을 말하기
새로운 주체화
동전의 양면
통치성 분석은 권력의 작동을 해명하고,
자기돌봄은 그에 저항하는 윤리적 실천을 모색한다

두 권의 강의록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 호모 에코노미쿠스
▸ 시장과 진실
▸ 통치의 자기 제한
▸ 오르도자유주의
▸ 시카고학파
『주체의 해석학』
▸ 에피멜레이아 헤아우투
▸ 파레시아(진실 말하기)
▸ 고대의 자기 실천
▸ 스토아 철학
▸ 자기 수양
▸ 윤리적 주체화

핵심 개념들

통치성
개인과 인구를 관리하는 권력의 특수한 형태
생명관리정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생명의 최적화 전략
호모 에코노미쿠스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경제적 주체
자기돌봄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윤리적 실천
파레시아
위험을 무릅쓰고 진실을 말하기
주체화
자기를 주체로 구성하는 과정과 방식
🎓 역자 직강의 특별함
번역 과정의 고민, 개념의 정확한 뉘앙스, 오역 가능성까지
오직 역자만이 전할 수 있는 깊이

강의의 특징

1. 푸코 철학의 연속성
초기-중기-후기가 아닌, 일관된 주체화 탐구의 심화 과정
2. 나무와 숲
문장 단위 미시 독해 + 푸코 사유 전체의 거시 조망
3. 현재성
1970년대 신자유주의 분석이 2020년대 한국에 던지는 질문
4. 실천적 도구
푸코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푸코를 사용하는 법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푸코 연구자, 철학 전공자 - 후기 강의록의 체계적 독해
정치철학, 정치경제학 관심자 - 신자유주의 비판의 철학적 기초
사회학, 정치학 전공자 - 통치성 개념의 실제 적용
사회운동가 - 저항의 이론적 근거와 실천 방법
윤리학, 교육철학 전공자 - 자기돌봄의 윤리와 교육적 함의

수강 가이드

💡 텍스트 준비
두 권의 책을 구입해 강의와 함께 읽으세요. 강독 형식이라 이해가 훨씬 깊어집니다.
💡 개념 지도
통치성, 사목권력, 안전장치, 생명정치 등 개념들의 연결고리를 지도로 그려가며 듣습니다.
💡 역사는 도구
중상주의, 오르도자유주의 등 역사적 사례는 통치성 분석의 도구입니다.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 연결고리
통치성과 자기돌봄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생각하며 듣습니다. 둘은 푸코 비판 기획의 두 축입니다.

수강생 반응

역자 직강의 위력을 실감했습니다. 개념의 뉘앙스, 번역의 어려움, 푸코 사유의 흐름을 모두 알 수 있었어요.
신자유주의에 대한 푸코의 분석이 충격적이었습니다. 단순한 비판이 아니라 그 합리성을 이해하면서 비판하는 방식이 인상적이었어요.

※ 철학사에 대한 기본 지식과 푸코의 다른 저술 경험이 있으면 이해가 수월합니다

푸코를 읽는 것은 푸코를 사용하는 것
그가 분석한 신자유주의 질서는 오늘날 더욱 심화되었고,
코로나 팬데믹은 생명관리정치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다.

그와 함께 현재를 사유할 준비가 되었는가?
강사 | 심세광 (불문학자, 철학자)
성균관대 불어불문학 전공
프랑스 파리10대학 박사 (푸코 연구)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주체의 해석학』 역자
성균관대, 건국대, 서울여대, 철학아카데미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