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융으로 읽는 헤세Ⅰ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

융의 분석심리학과 헤세의 문학, 그리고 인도의 깨달음 사상이 만나는 곳. 이 강좌는 마음의 심연을 헤쳐 나가 진정한 자신으로 살아가는 길을 안내한다. 헤세의 소설은 내면 여정의 워크북이 되고, 융의 이론은 그 여정의 지도가 된다.

📚 탐구할 작품들

📖
수레바퀴
아래서
🦅
데미안
🎨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각 작품은 융의 '개성화 과정'의 단계를 보여준다. 자아 구축의 문제, 내면으로의 입문, 영혼의 어두운 밤을 차례로 경험하며 우리는 "나는 누구이며, 나는 무엇인가"를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 핵심 개념들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과 진정한 자아의 구분
심혼
무의식과 의식을 중재하는 내면의 안내자
그림자
억압된 어두운 측면과 투사
자기(Self)
전체 정신의 중심, 자기실현의 목표

🛤️ 개성화의 여정

융의 개성화 과정 = 인도의 깨달음 = 진정한 나되기

1
자아 구축
2
내면 입문
3
영혼의 밤
4
자기실현

👤 강사 소개

김영
신화학자 · 인도학자
인도 푸나 대학 산스크리트어·팔리어 전공
싼스끄리뜨 베다어 석사 | 박사(영웅신화 비교연구)
『라마야나』 역자 | 『인도신화 강의』 저자

우파니샤드와 바가바드 기타 원전을 직접 읽은 전문가가 동서양 사상의 접점을 명쾌하게 풀어낸다.

🎯 추천 대상

이런 분들께 권합니다

중년의 위기를 겪는 분 내면 탐구에 관심 있는 분 융 심리학 입문자 헤세 애독자 인도 철학 공부자 자기실현을 추구하는 분

💡 수강 가이드

효과적인 학습 방법

📖 사전 준비

세 작품을 미리 읽어두면 강의 이해도가 크게 높아진다. 특히 『데미안』은 필독!

🔄 반복 학습

2강의 융 개념 정리 부분이 핵심. 이해가 안 되면 반복해서 듣는 것을 추천한다.

🤔 자기 성찰

강의를 들으며 스스로에게 질문하자. 나는 어느 단계인가? 내 페르소나는 무엇인가?

⭐ 수강생 목소리

생생한 수강 후기

"중년의 위기를 겪으며 들었다. 심혼과 중년 부분에서 울컥했다. 내 안의 억압된 심혼을 만나야 할 시기라는 말씀이 전환점이 되었다."
- 40대 직장인
"고등학교 때 읽었던 『데미안』을 완전히 다른 차원에서 이해하게 됐다. 융의 개념으로 읽으니 깊이가 다르다."
- 문학 애호가
"융 심리학 입문용으로 완벽하다. 페르소나, 심혼, 그림자, 자기의 개념이 명확히 정리됐다."
- 심리학 공부자
☸️

🕉️ 진정한 나에게로의 여정

인도의 가르침은 마음을 향해 있다. 내 안의 심연을 헤쳐 나가 진정한 자신으로 살아가는 길. 융은 이론을, 헤세는 경험을, 인도는 궁극의 목표를 제시한다. 이 강좌는 그 여정을 준비하는 든든한 채비가 될 것이다.

※ 2부에서는 『싯다르타』,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황야의 이리』, 『유리알 유희』가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