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문학문학일반바깥의 문학 : 작품은 어디에서 오는가?

강좌정보
우리는 스스로를 '세계 안'에 살고 있다고 여기지만, 실제로는 경계 바깥으로의 일탈을 거듭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문학은 이런 경계 너머의 세계에서 '낯선 나'와 만나는 경험에서 시작된다. ‘세계-외-존재’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고, 우리 안에 숨겨진 ‘세계의 바깥’이 어떻게 문학을 통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지 다양한 작품을 통해 체험하는 시간.

세계-외-존재

하이데거는 인간을 세계 안, 그 규정성 속에 존재하는 ‘세계-내-존재’로 보았다. 하지만 우리가 언제나 주어진 규정성 안에서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존재인가? 우리가 스스로를 ‘세계 안’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에도 우리는 수도 없이 많은 경계 바깥으로의 일탈을 경험하고 있으며, 더욱이 권태를 느낀 인간은 세계의 바깥, 규정성 너머의 존재를 지향하게 된다. 그리고 세계의 바깥에 머무는 ‘예술가’라는 존재와 그들의 작품 세계를 통해 비로소 막연하게 바라던 경계 너머를 체험하는 것이다. 제1강 “세계-외-존재의 존재론”을 맡은 이진경 교수는 릴케의 시를 포함한 다양한 문학 작품을 통해서 세계와 그 바깥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돕고 있으며 이어지는 강의들을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근대 이후의 공-동체와 문학의 세계

근대까지의 문학은 교양 소설로 대표되는, 국가와 사회라는 커다란 존재의 가치관과 상징을 드러내는 장치로서 존재하였다. 하지만 오늘날의 문학은 더 이상 국가 공동체(共同体)를 수호하지 않고, 보다 새로운 개념인 공-동체(共-動体)와 그 내부의 공감과 감응을 나누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기에 이르렀다. 제3강과 제5강의 최진석 교수의 강의는 이렇듯 변화하고 있는 문학 작품의 흐름과 발전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앞으로 다가올 시대의 문학의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번 강의를 통해 만나게 되는 ‘감응의 공-동체(共-動体)’라는 이름의 새로운 형태의 집단 모델은 근대적 공동체(共同体)의 붕괴와 함께 찾아온 심각한 사회적 문제의 해소를 불러올 희망의 불씨를 지피게 될 것이다.


세계의 바깥과 문학 작품

이번 강의에서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 폴 발레리, 황정은, 김종삼 등 다양한 시인의 작품을 분석하며 세계의 안과 바깥, 존재와 비존재의 경계에 대하여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송승환 시인과 진은영 시인의 강의는 작품에 대한 세부적인 해석은 물론, 작품 뒤로 펼쳐져있는 존재와 세계의 관계에 대해서도 놓치지 않아, 실제 문학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세계의 바깥’과 ‘세계-외-존재’의 개념에 대해 함께 생각해볼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강의를 통해 규정된 삶의 테두리에서 잠시나마 벗어나, 세계의 바깥으로의 일탈을 경험해보도록 하자.

강사소개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세계의 바깥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세계와 우주, 그리고 시인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안에 있는 세계의 바깥, 영혼과 얼굴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우주와 존재 그리고 존재의 일의성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