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문화예술음악예술이론의 이데올로기 : 마르크스 이후의 현대 문학과 문화비평

강좌정보
예술의 본질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지형도를 그려보는 시간. 실재를 규정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되었던 근대 예술 사조, 그 아래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예술의 본질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마르크스와 루카치를 거쳐 푸코, 들뢰즈, 데리다까지 예술의 본질을 둘러싼 현대 예술이론의 논의 지형도를 그려본다.

난해한 현대 예술길라잡이가 필요해!

 

누구나 한 번쯤은 미술관을 찾아 유명 작가의 작품을 보고커피 한잔을 마시며 작품의 의미를 이야기하고 싶어 한다그러나 그런 허세의 욕망이 산산이 부서지는 경우가 있다가령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과 같은 작품을 만났을 때나 모리스 블랑쇼의 기다림 망각과 같은 소설을 읽었을 때가 그러하다.

그 순간 우리의 머릿속에는 예술가는 왜?’라는 질문이 지나가곤 한다게다가 그 작품이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금액으로 거래된다는 소식까지 더하게 되면 이 세상이 쓸모없는 데 허비하는 사회적 자원이 너무 많음을 한탄하기도 한다.

최진석의 강좌 <예술이론의 이데올로기>는 이처럼 현대 예술의 알쏭달쏭함과 난해함 속에 빠져버린 우리들에게 현대 예술과 문학을 이해하는 멋진 길라잡이 역할을 해줄 것이다.

 

뒤샹의 <>과 존 케이지의 새로운 예술

 

현대 예술가 마르셀 뒤샹은 <>이라는 작품을 통해 일상에서 접하는 사물에 불과한 변기 또한 하나의 예술 작품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또한 현대 음악가 존 케이지는 <4분 33>라는 작품에서 4분 33초 동안 아무런 연주를 하지 않아 객석의 관객들을 당황시켰다이후 누군가 왜 연주를 하지 않았나요?’라고 묻자 그는 정말 아무 연주도 못 들으셨나요?’라고 반문한다비록 4분 33초 동안 훌륭한 연주자들의 공연은 없었지만그 사이에 관객들은 다른 관객들의 웅성거림당황한 사람들의 속삭임과 같은 소음을 듣고 있었던 것이다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잡음 또한 음악 작품이 될 수 있다는 통찰그 통찰을 존 케이지는 보여준 것이다.

 

 예술불온한 것을 상상하라!


이처럼 현대 예술은 기존의 규칙과 질서를 위반하고 불가능한 것을 상상할 때 새로운 작품이 탄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그렇다면 예술의 본질이란 어쩌면 기존의 질서에 포착되지 않는 이질적인 타자를 만나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상상하는 힘이 아닐까?

이번 강좌를 통해 우리는 마르크스의 직관과 사유를 출발점 삼아 예술이론 속에 펼쳐진 현대 문학과 문화비평의 역사를 개괄해 보려고 한다마르크스와 엥겔스루카치와 푸코들뢰즈와 데리다를 날렵하게 주파하면서 문학과 문화예술과 미학의 현대성이 열어놓은 우리 시대의 문제에 관해 살펴보도록 하자.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 루카치 저, 『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2007)
- 미셸 푸코 저,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사, 2010)
- 질 들뢰즈 저,『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2014)
- 자크 데리다 저, 『마르크스의 유령들』 (그린비, 2014)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예술이란 무엇인가?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근대 예술 사조와 ‘실재’(the real)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사실(fact)과 실재적인 것(the real)의 차이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마르크스의 예술이론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