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인문교양고전『열하일기』 : 숨은 보석을 찾아라!

강좌정보
『열하일기』는 세계 최고의 여행기다! 심연을 탐사하는 지혜와 비전을 품은 명문장들 속의 유머까지 간직한 『열하일기』는 현대인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이다. 고전이라는 틀에 갇혀 제대로 읽어낼 수 없었던 『열하일기』를 이 시간에 제대로 음미해 보자.


한국인이 박지원과『열하일기』를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 한 시대의 이단아가 펼친 사상적 고투의 기록『열하일기』


1780년, 청(靑)나라 건륭황제의 칠순을 축하하는 사절단의 수행원이었던 연암 박지원. 
하룻밤에도 아홉 번이나 강을 건너는 사투와 2800리에 이르는 여섯 달간의 대장정, 3년 동안의 각고 끝에 『열하일기』가 탄생한다.

소중화주의에 찌든 사대부들에겐 당시 청나라 문명의 풍요로움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중화 문명을 보는 연암의 유일한 잣대는 중국 사람들의 생활상을 ‘있는 그대로’ 보자는 것! 그래서 그의 눈에 가장 눈부시게 다가온 것은 화려한 궁성이나 호화찬란한 기념비가 아니라 구체적인 일상을 끌어가는 벽돌과 수레, 가마 등이다. 조선의 현실이 그만큼 열악했던 것이다.

오랑캐의 문물을 소개하며 현실을 바로 보자는 연암의 주장은 기존의 질서와 가치를 뒤엎으려는 위험천만한 일이었다. 명나라가 망한 지 100년이 넘은 시점에도 그 영향력에서 벗어나는 게 얼마나 어려웠는지는 연암이 옛 성터에서 눈물짓는 장면에서도 능히 짐작할 수 있다.

다양한 은유와 역설, 그리고 종종 남의 이야기를 전하는 듯한 형식의『열하일기』는 성리학과 중화의 울타리 밖으로 나가려 한 당대 지식인들이 겪은 사상적 고투의 기록인 것이다.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의 저자 고미숙! 박지원을 만나면 유쾌해지는 그녀와 함께 보석을 찾아보자


고전이라는 말은 우리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어느 순간부터인가 고전은 현대인이 도저히 오를 수 없는 벽인 것이다. 『열하일기』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고미숙과 함께 『열하일기』를 읽다 보면 저 멀리 근엄한 표정을 짓고 서 있을 것 같은 연암 박지원이 내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친구처럼 가깝게 느껴진다.

어느 때는 우습다가, 눈물도 나오다가, 시대의 모순에 대한 한 지식인의 깊은 성찰 앞에 숙연해 지기도 한다.
사랑에 빠진 사람은 다른 어떤 누구도 발견해내지 못한 그 사람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다. 사랑이 눈을 더욱 크게 만드는 것이다. 연암 박지원과『열하일기』에 대한 열렬한 애정의 소유자, 고전평론가 고미숙 선생님과 함께 『열하일기』의 보석을 찾아서 떠나보자.

가난한 조선의 서민들이 살던 집은 쾌적하지도 튼튼하지도 않았던 것만은 분명했다. 
조선 사람들은 그들의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 즉 볏짚과 나무, 흙으로 집을 지었고, 중국 사람들은 대지를 덮고 있는 황토로 벽돌을 만들어 집을 지었다. 벽돌집이 초가집에 비해 튼튼하고 반듯한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그래서 중국 땅을 처음 밟은 연암도 벽돌집의 장점이 눈에 보였다. 벽돌로 만든 주택의 좋은 점을 설명한 연암은 마치 작업하는 모습을 옆에서 자세히 관찰이라도 한 듯 벽돌 쌓는 법을 상세히 묘사한다.

벽돌 쌓는 법을 자세히 관찰한 연암의 눈에 중국의 성이 보인다. 당연히 벽돌로 쌓은 성이다. 이에 비해 조선의 성은 돌로 쌓았다. 한반도의 질 좋은 화강석이 지천으로 널려 있는 땅이기 때문에 성도 옛날부터 돌로 쌓아왔다. 연암은 연행 동료인 진사 정각과 말머리를 나란히 하고 걸으며 중국의 벽돌 성이 어떠냐고 묻는다. 그런데 정진사가 “벽돌이 돌만 못한 것 같애”라고 대답하자 준비된 자신의 장광설을 시작한다. 그러나 연암이 벽돌 예찬론을 도도하게 전개하고 있을 때 옆에서 같이 걷는 정진사는 곧 말에서 굴러 떨어질 정도로 졸고 있다.
(<『열하일기』숨은 보석을 찾아라!> 강의 중에서)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 고미숙 저『삶과 문명의 눈부신 비전, 열하일기』, 아이세움 출판사 (2007)
◈ 고미숙 저『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그린비 출판사 (2003)
강좌보기
맛보기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