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스피노자의 『에티카』로 읽는 신과 자연 그리고 인간

강좌정보
스피노자의 형이상학은 윤리학과 정치학의 분야에서도 그러한 연합된 지식의 결말을 과시했다. 『에티카』에 대한 이러한 해석적인 접근은 정당하고 여전히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은 단지 여러 가능한 접근방법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에티카』 자체는 첨가된 증명들로 필연적인 진리로 요구되는 명제들을 구성한다.

마지막 중세인이자 최초의 근대인 스피노자

신 즉 자연, 사유와 연장, 생산하는 자연과 생산되는 자연. 스피노자의 『에티카』는 이러한 표현들로 자연, 신과 인간 그리고 신과 사물을 표현하였다. 신이냐 아니면 자연이냐 인간이냐.

당대의 유대교의 초월적 신론과 사상을 중심으로 종교가 권력의 헤게모니에 의해서 그 본질적인 사명을 하지 못할 때, 스피노자는 이러한 종교를 변호한 데카르트를 대표로 하는 근대의 사상과 차별하면서, 마지막 중세인이면서 이것을 넘어서는 최초의 근대인이라고 불릴 수 있었다. 이것은 신의 질서 자연의 질서, 그리고 인간과 정치·사회의 질서가 신과 자연에 대한 인간과 정치·사회의 질서는 무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영향을 적지 않게 미친다는 데 있다.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증명된 윤리학

당대 전통사상과 현존하는 지배적인 사상은 신과 자연의 질서에 대해 인간과 정치·사회의 질서를 무관한 것으로 결정해 버리고 싶은 지배와 착취의 욕망을 작동시킨다. 그 이유 중 두드러진 것은 바로 힘의 문제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하지만 스피노자는 힘을 두 가지로 구별하면서 인간의 힘(네로, 히틀러, 부시, 무바라크 등으로 대표되는 온갖 물질적 정신적 권력)을 고발한다.

신의 힘으로 Pontentia가 있고 다른 세속적인 인간의 힘으로 Potestas가 존립한다. 하지만 인간은 인간의 지배적이고 세속적인 힘을 신의 힘으로 착각하거나 오용하여 인간과 정치·사회의 질서, 심지어는 자연의 질서조차도 지배하고 파괴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이러한 인간의 힘은 한낱 인간의 부정적 욕망에 다름 아닌 것이다. 오늘 『에티카』를 통한 스피노자의 정신은 여전히 우리를 중세에서 벗어나 근대인으로 살아가기를 재촉하고 있다.​

강사소개
강좌보기
맛보기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