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인문교양역사한국 공산주의 문화사 - 허정숙 편

강좌정보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의 공산주의 사상과 운동의 역사는 오랜 동안 금기 속에서 잊힌 역사였다. 박노자는 그 망각의 역사를 다시 끌어내 우리 앞에 생생하게 풀어 놓는다. 세계인으로서 당대의 지성사에 정통하며 조선인으로서 ‘지금, 여기’의 문제를 고민했던 이들이 우리의 현재에 말을 건넨다.

누구도 하지 않았던, 그러나 누군가는 했어야 할 이야기 – 한국 공산주의 인물사

식민지 시기와 해방 직후는 사상의 계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풍요로운 시대였다. 극좌에서 극우까지의 넓은 스펙트럼 안에, 전모를 파악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한 흐름의 사상적 운동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안에서 공산주의의 역사는 오랜 동안 금기 아래서 망각된 역사였다. 

물론 김준엽, 김창순의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5권이 있었지만 이젠 찾아볼 수가 없고, 최근 개정, 완역된 스칼라피노와 이정식의 기념비적인 저서『​한국 공산주의 운동사』​는 불온도서로 지정된 이력이 무색하게도 시대적 한계와 반공주의적 색채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리고 이 두 책 모두 개설서를 의도한 연구서라는 점에서 일반 독자들의 눈높이로부터 벗어나 있다. 


살아 있는 역사가 되기 위해서는 그 역사의 주역들이 살아있는 인물이 되어야 한다.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우리에게 말을 걸고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존재여야 하기 때문이다. 바로 그 결여와 공백을 채울 수 있는 강의를 들고 박노자가 오슬로에서 찾아왔다. 매년 상하반기 2강 씩, 2년에 걸친 강좌다. 



일제 강점기의 가장 급진적인 페미니스트

조선의 콜론타이 허정숙은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이다. 일제 치하의 명망가인 변호사 허헌의 딸로 태어나 복잡한 남성 편력으로 경성 시대 언론의 조롱거리가 되기도 했던 허정숙은 조선 최초의 여성기자이자 저명한 여성운동 지도자로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주장을 널리 펼치다 망명, 여전사로서 훈련받고 항일유격활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였고 해방 후에는 월북한 후 북한 사법재판소장을 역임하는 등 최고의 여성 권력자 중 한 명으로서 북한 정권의 핵심에서 오래 활동하다 1991년 긴 생애를 마쳤다. 북한 정권은 그의 가는 길을 국장으로 우대하였다.​


서구의 신사상을 교육받은 여성주의자들은 많았으나 허정숙은 자본주의 자체가 여성을 구속한다며 자본주의 자체의 타파까지 부르짖은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의 선구자였다. 저명한 여성 사회주의자 콜론타이의 사상을 일찍이 소개한 그는 콜론타이의 구호에 따른 자유연애로 가부장적인 조선 사회에서 조롱과 뒷담화의 대상이 되었지만 신간회, 근우회 등에 참여한 적극적인 활동가로서, 급진적인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구습과 타협하는 유연한 태도를 갖출 줄 알았던 현실적인 운동가로서 독보적인 여성지도자였다. 가부장적인 김일성 체제와 타협한 생애의 후반부조차도 북한이 진보적인 여성정책을 펼치게 만든 주역으로서 새롭게 재평가 되어야 할 대목이기도 하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조선 사회주의자 열전』(박노자 지음, 나무연필, 2021)
강좌보기
    • 1교시 가부장적 현실과 타협한 한국의 콜론타이 – 출생과 교육, 페미니즘과 사회주의를 학습한 신여성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1920년대 사회주의 여성 운동 –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에 모두 반대함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1920년대 중반 여성 계몽 – 여성 지도자로서 유연한 태도로 계몽에 힘씀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1930년대 이후 망명과 월북 – 북한 체제와의 타협과 공존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