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라틴어) = ~을 향하여
Hominem (라틴어) = 사람을 (homo의 대격)
원래는 "사람을 향한 논증"의 의미로
개인 맞춤형 설득 방법이었다
영어: Personal Attack (직접적 번역)
독일어: Argumentum ad personam (라틴어 원형 유지)
프랑스어: Attaque personnelle (공격성 강조)
한국어: 인신공격의 오류 (일본어 경유)
각 언어권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발생했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라틴어 원형의 '방향성' 개념이 '공격'으로 단순화되는 한계를 보인다.
고대의 Ad Hominem:
"당신은 그리스도교 신자니까 성경의 이 구절로 설명하겠다" (개인 맞춤형 설득)
현대의 Ad Hominem:
"당신은 과거에 그런 일을 했으니까 지금 말은 믿을 수 없다" (인격 공격으로 논증 회피)
같은 용어가 정반대의 의미로 변화한 것은 인간의 소통 방식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보여준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디지털 Ad Hominem'이 등장했다. 온라인에서 상대방의 과거 발언을 캐내어 공격하는 '신상털기'나 '과거 캐기'는 전통적인 Ad Hominem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그 모든 사례들이 바로 이 2000년 여정의 종착지다. 원래 '개인 맞춤형 논증'이었던 것이 어떻게 '논증 회피 수단'이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