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이 먼저일까,
인식이 먼저일까?

정동이론이 밝혀낸 몸의 비밀

정동 vs 감정

정동 (Affect)
• 의식 이전의 몸의 반응
• 즉각적이고 자동적
•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움
• 강도(intensity)의 변화
VS
감정 (Emotion)
• 의식적으로 인식 가능
• 언어로 표현 가능
• 사회적으로 학습된 것
• "화남", "기쁨" 등으로 명명
🛗 엘리베이터 갑정지 상황
몸의 즉각 반응 정동 발생 감정 인식

심장 빨라짐, 근육 긴장 → (정동) → "아, 무섭다" (감정)

일상 속 정동의 작동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의
정동 = 몸의 '변화 능력'
다른 몸들과 만나며 영향을 주고받는 강도와 잠재력
☕ 커피숍 입장 순간
원두 향 + 따뜻한 조명 + 잔잔한 음악
→ 의식적 판단 이전에 이미 몸이 이완
→ 그 다음 "이 공간이 좋다" 인식
🚇 지하철 러시아워
몸의 부딪힘 + 소음 + 냄새
몸의 긴장 상태 먼저 발생
→ 그 다음 "짜증난다" 감정 생성

SNS와 정동의 정치학

정동의 정치학이란?
현대 자본주의가 우리의 정동을 관리하고 조작하는 방식
📱 인스타그램 여행 사진
1. 시각적 자극 → 즉각적 정동 반응
2. 부러움/동경의 몸의 변화
3. "부럽다" 감정 인식
4. 욕망과 행동 패턴 형성
📺 광고의 정동 전략
화려한 색상 + 리듬감 있는 음악 + 매력적 이미지
의식적 판단 이전에 몸을 자극
→ 구매 욕구 생성

정동 윤리학의 제안

스피노자의 윤리학
기쁨을 증대시키고 슬픔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살아가기
→ 나와 타인의 능력을 증대시키는 만남 추구
💼 직장 회의에서의 적용
❌ 단순히 '올바른' 의견 제시
✅ 참여자들의 에너지와 창의성 증대
→ 격려와 협력을 통한 능력 발휘 환경 조성
몸의 지혜에 귀 기울이기
의식적 판단이나 사회적 규범보다 먼저,
몸이 보내는 신호들을 섬세하게 느끼고 따라가기

정동이론의 핵심 메시지

몸의 반응 정동 발생 감정 인식 사고와 행동
우리는 생각하는 존재이기 이전에
느끼고 반응하는 몸이다.

감정을 억압하거나 통제하려 하지 말고,
몸과 마음의 자연스러운 흐름 속에서
더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