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모든 답을 주는 시대,
우리는 정작 중요한 것을 잃어버렸다.
진정한 지혜는 '무지의 자각'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AI 시대의 우리는 클릭 몇 번이면 답을 얻을 수 있어서, 모른다는 사실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었다.
친구와 의견이 다를 때, 예전엔 함께 토론했지만 지금은? 바로 AI에게 묻고 끝이다. 그 과정에서 '왜 그런지', '정말 맞는지' 같은 근본적 질문들을 놓친다.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학생들에게 답을 가르쳐주지 않고, 계속 질문을 던져 스스로 답을 찾게 하는 교육법이다.
하지만 AI 시대 학습은? 복잡한 문제를 만나면 AI에게 풀이과정까지 요청한다. 정답은 얻지만 사고력을 기르는 기회는 놓친다.
이는 근육을 기계로 대신 움직이는 것과 같다. 편리하지만 자신의 근육은 점점 약해진다.
소크라테스가 던진 질문들:
• "정의란 무엇인가?"
• "용기란 무엇인가?"
•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이런 질문들은 AI에 물어봐도 만족스러운 답을 얻기 어렵다. 정보가 아니라 성찰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1단계: AI를 사고의 파트너로 활용하자
AI 답변 후 "정말 그럴까?", "다른 관점은?", "한계는 무엇일까?" 같은 후속 질문을 던져보자.
2단계: 답이 명확하지 않은 질문을 던지자
윤리적 딜레마나 인생의 근본 문제들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자.
3단계: '모른다'고 말하는 용기를 가지자
모르는 상태에서 머물며 천천히 탐구하는 과정 자체가 소중한 배움이다.
AI가 답해주는 시대일수록,
우리에게는 질문하는 철학이 더욱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