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타스의 언어학적 여행
진리를 추구하는 인류의 언어 탐험
VERITAS
어원의 뿌리
*wer- (인도유럽어족)
↓ '믿다, 신뢰하다'
독일어 wahr
영어 very
라틴어 veritas
게르만어 waraz

베리타스는 단순한 사실이 아닌 '신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했다. 로마인들에게 진리는 실용적 확실성이었다.

그리스 vs 로마의 진리관

그리스 ἀλήθεια

탈은폐성
드러남
발견의 사건

로마 Veritas

확실성
신뢰성
검증된 것

하이데거는 알레테이아를 '숨겨진 것이 드러나는 사건'으로, 베리타스를 '이미 확립된 것에 대한 확신'으로 구분했다.

언어별 의미 변화
English
Truth
(충실함, 신뢰)
Deutsch
Wahrheit
(진실함, 정직)
Français
Vérité
(확실성, 명증성)
한국어
진리
(참된 이치)

각 언어로 번역되면서 베리타스는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독특한 의미를 획득했다.

VERITAS
하버드 대학교 모토 (1692년~)
철학사적 전개
고대
아우구스티누스: 신적 진리와의 연결
중세
아퀴나스: "사물과 지성의 일치"
근대
데카르트: 확실성과 명증성 강조
현대
하이데거: 알레테이아로의 회귀
"진리는 자기 자신과 허위의 기준이다"
- 스피노자, 『에티카』
현대적 의미

베리타스는 오늘날 학문적 권위와 지적 엄정성을 상징한다. 객관적 사실 추구,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신뢰,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포스트모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