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유충현:라캉 입문: 라캉의 주요 개념 및 이론에 대한 개괄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정신분석·심리학라캉 입문: 라캉의 주요 개념 및 이론에 대한 개괄

강좌정보
라캉의 최측근인 사위인 자크 알렝 밀레조차도 라캉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난과 질책을 받았습니다. 라캉의 유망한 제자였던 르 클레르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고요. 라캉의 글은 이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읽는 우리도 겸허해질 필요가 있습니다.오히려 라캉의 가르침에 주목하면 상징화되지 않고 남는 잔여물(실재)이 중요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글을 오랫동안 읽어왔습니다. 그렇다고 세상에 내세울 만한 연구 성과를 생산했거나 무게 있는 저작을 낸 것은 아닙니다. 그저 저 개인의 지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머물렀지요. 이런 탓에 라캉 강의 재개를 부탁하는 전화를 받고 살짝 망설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라캉의 개념과 이론이 (어렵긴 하지만) 재미나기도 하거니와 제가 애써 공부한 것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의미있고 보람찬 일이 될 듯해 강의 재개 요청에 흔쾌히 응하기로 했습니다. 

그래도 수강을 희망하는 분들에게 먼저 말씀드릴 것이 있습니다. 첫째, 저는 분석 경험이 없는 인문학 연구자입니다. 정신분석은 이론과 실천이 씨줄과 날줄이 되어 직조되는 분야임에도 임상 실천에 대한 경험을 책 속에서 얻는 것이 전부인 제게 분명한 한계가 있다는 점, 미리 양해를 구합니다. 

둘째, 임상 경험과 별개로 라캉의 이론은 매우 읽기 어렵습니다. 어렵다고 썼지만 사실은 읽을 수 없는 것들입니다. 라캉 스스로가 자신의 글(Ecrits)은 읽을 수 없는 것이라고 단언하지 않았습니까. 그의 글과 이론은 일반 대중이 아니라 임상 분석가들을 대상으로 쓴 것들입니다. 라캉의 글들은 임상 분석가들이 환자들의 증상을 너무 쉽게 진단해 버리는 것을 보고 모든 것을 의심하게 하기 위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도록 고안된 글들입니다. 

그래서 라캉의 최측근인 사위인 자크 알렝 밀레조차도 라캉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난과 질책을 받았지요. 라캉의 유망한 제자였던 르 클레르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고요. 라캉의 글은 이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읽는 우리도 겸허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오히려 라캉의 가르침에 주목하면 상징화되지 않고 남는 잔여물(실재)이 중요한 것으로, 상징적 그물망으로 걸러진 건더기(이해된 것)는 쓸모가 없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쨌든 잔여물을 얻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불가피하게 라캉의 글을 주요 개념을 통해 도식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후성(apre coup)이 중요함에도 순차적으로 그의 이론이 발전해 간 도정을 걸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라캉의 글을, 그가 정신분석이라는 고유한 영역을 지키기 위해 철학, 언어학, 인류학, 위상학 등을 무자비하게 유린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선 주요 개념들에 대한 입문적 개괄이 필요합니다다. 라캉에 관한 입문 서적이 제법 많지만 이 강의에서는 읽기에 편한 숀 호머의 책(<라깡 읽기> 김서영 옮김, 은행나무, 2014)을 교재로 정했습니다. 그 책을 꼼꼼히 읽되 더할 것은 더하고, 뺄 것은 빼면서 강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강사소개
교재소개
『라캉 읽기』(숀 호머 저, 김서영 옮김, 은행나무, 2014)
강좌보기
    • 1교시 라캉 개괄 (전기적 사실, 정신분석 운동의 역사)1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라캉 개괄 (전기적 사실, 정신분석 운동의 역사)2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라캉 개괄 (전기적 사실, 정신분석 운동의 역사)3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라캉 개괄 (전기적 사실, 정신분석 운동의 역사)4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