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 읽기: 1. 지식의 의지
심세광 / 8강
New헤겔 미학 강의: 이념과 가상의 미학
이병창 / 10강
New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 관통하기
황산 / 8강
New들뢰즈의 영원회귀: 차이의 존재론과 사건의 윤리학
김효영 / 5강
New마음과 뇌, 인간 이해를 위한 두 가지 열쇠: 마음과 뇌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조광제 / 5강
New들뢰즈의『시네마』 : 영화와 철학의 만남
이지영 / 14강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 죽음에서 마주한 실존의 경험
구연상 / 8강
철학사 미로 탐방 : 동·서양 철학사 핵심 가이드
강신주 / 20강
인기니체, 사유의 즐거운 전복
고병권 / 14강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읽기
백승영 / 8강
현상학에서 실존주의까지 Ⅱ :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사르트르, 카뮈
장의준 / 10강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Ⅰ : 시간, 습관, 기억
이정우 / 15강
이정우의 푸코 읽기: 『광기의 역사』1부
이정우 / 6강
들뢰즈와 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 읽기 : 정신분석 비판을 위하여
박정수 / 6강
들뢰즈『천 개의 고원』: 주요 개념으로 보기
박정수 외 / 14강
푸코의 주체화와 실존의 미학
심세광 / 8강
칸트 철학의 정수 : 『순수이성비판』 읽기
이정우 / 13강
구조와 타자 - 구조를 파열시키는 주체의 가능성
장의준 / 8강
철학이 만난 예술 Ⅰ: 메를로-퐁티, 하이데거, 리오타르, 블랑쇼
김동국 / 8강
하이데거의『예술 작품의 근원』읽기
서동은 / 14강
개념-뿌리들 Ⅲ : 타자, 차이, 무의식, 주체
이정우 / 8강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읽기
심세광 / 8강
구조주의 입문: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바르트, 라캉
장의준 / 9강
인기푸코를 읽는다 : 푸코의 주요 저서 4권 읽기
허경 / 4강
들뢰즈의 『시네마 Ⅱ : 시간-이미지』 읽기
이지영 / 8강
추천개념-뿌리들 Ⅰ : 덕, 선·악, 국가, 정의
이정우 / 6강
인기새로운 사유의 최전선:하먼, 가브리엘, 육후이의 예술에 대한 사유
박성관 외 / 6강
New한 실존철학자의 초상 : 장 폴 사르트르의 사상과 문학
변광배 / 8강
미셸 푸코의 『안전, 영토, 인구』 읽기
심세광 / 8강
New현대 미학 : 숭고와 시뮬라크르
진중권 / 12강
메를로 뽕띠와 데리다 : 표현과 의미의 현상학적 연구
정지은 / 8강
실존주의 철학의 두 거장, 사르트르와 카뮈의 사상과 문학
변광배 / 8강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함께 읽기
김은주 / 8강
꿈꾸는 우울 : W. 벤야민을 이해하기 위하여
김진영 / 21강
철학사 입문코스 Ⅴ : 현대 철학의 흐름
이정우 / 11강
푸코와 정신과학
심세광 / 12강
사랑의 주체 또는 고독의 시니피앙 : R. 바르트의 『사랑의 단상』
김진영 / 8강
미셸 푸코 가로지르기
심세광 / 16강
들뢰즈, 가타리의 유목미학
김숙경 / 13강
신유물론, 이론의 새로운 전장
박준영 / 6강
개념으로 만나는 들뢰즈
이진경 외 / 14강
들뢰즈, 가타리의 『천의 고원』 읽기 Ⅰ : 리좀이란 무엇인가
이정우 / 12강
들뢰즈의 『시네마 Ⅰ: 운동-이미지』 읽기
이지영 / 8강
추천이정우의 푸코 읽기: 『광기의 역사』3부
이정우 / 6강
미셸 푸코, 『정신의학의 권력』과 『비정상인들』 읽기
심세광 / 8강
헤겔 『정신현상학』 '정신' 장의 이해-정신의 역사
이병창 / 10강
욕망하는 기계들의 철학과 정치학
최진석 / 5강
페미니즘 철학 입문
김은주 / 4강
인기불가능한 타자, 불가능한 환대 : 레비나스-데리다 효과
장의준 / 7강
칸트 『실천이성비판』 읽기
김상현 / 4강
들뢰즈, 가타리의 『천의 고원』 읽기 Ⅱ : 베르그송주의자-되기
이정우 / 14강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주체의 해석학』 읽기
심세광 / 8강
신유물론의 도착
박준영 / 5강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Ⅱ : 죽음욕동을 넘어서
이정우 / 14강
미와 숭고: 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김상현 / 6강
들뢰즈 영화철학에 대한 질문들
이지영 / 8강
추천궁핍한 시대의 존재 사유 : 하이데거, 과학기술에 대한 고찰
이선일 / 10강
추천몸의 철학: 하나이고 여럿인 세계
정지은 / 8강
현상학에서 실존주의까지 Ⅰ : 후설의 현상학
장의준 / 5강
라캉의 어깨에 올라탄 지젝이 바라본 세계
이윤성 / 15강
스피노자의 『에티카』로 읽는 신과 자연 그리고 인간
이석규 / 8강
프로이트 읽기 -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유충현 / 8강
들뢰즈의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읽기 시즌 Ⅰ
마상룡 / 8강
시간, 철학을 만나다 : 플라톤에서 메를로퐁티까지
조광제 / 15강
미하일 바흐친의 예술미학론 입문 (『라블레론』 입문)
최진석 / 5강
개념-뿌리들 Ⅳ : 장소, 차이, 다양체
이정우 / 6강
독일어로 철학하기: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원서 강독
이동용 / 10강
New푸코의『말과 사물』읽기
심세광 / 7강
철학이 만난 예술 Ⅱ : 푸코, 보드리야르, 아도르노, 랑시에르
김동국 / 8강
니체의 『아침놀』, 잠언으로 철학하기
이동용 / 8강
미셸 푸코,『지식의 고고학』 강의
심세광 / 8강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Ⅳ : 다양체란 무엇인가
이정우 / 12강
사랑한다! 괜찮아! : 니체의 『즐거운 학문』 읽기
이동용 / 8강
탁월한 사유의 마지막 인간 : 베르그송을 만나다
홍경실 / 8강
들뢰즈의 예술론 : 원전강독을 통한 접근
이지영 / 16강
페미니즘 철학: 제2물결 페미니즘 이해하기
김은주 / 8강
추천근대미학의 이해 : 셸링, 헤겔, 쇼펜하우어, 마르크스
김상봉 / 4강
철학사 입문코스 Ⅳ : 근대와 모더니즘
이정우 / 18강
이정우의 푸코 읽기: 『광기의 역사』2부
이정우 / 5강
들뢰즈 철학의 지층과 고원들
조정환 / 8강
신을 탄핵한 철학자 니체와 『안티크리스트』
이동용 / 10강
개념-뿌리들 Ⅱ : 세계, 잠재성, 의미, 개체
이정우 / 8강
헤겔철학입문 : 『정신현상학』 읽기
김상봉 / 18강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Ⅲ : 삶, 죽음, 운명
이정우 / 10강
하이데거와 함께 예술하기Ⅰ - 『예술작품의 근원』으로 보는 하이데거의 예술론
이선일 / 10강
지젝 철학의 시작 :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읽기
이정우 / 7강
이정우의 세계철학사 대장정Ⅴ : 17세기 과학기술적 사유의 탄생
이정우 / 6강
니체의 문학과 철학의 두물머리,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이동용 / 10강
들뢰즈 『시네마 Ⅰ : 운동-이미지』 읽기
박성수 / 12강
레비나스와 더불어 이 시대를 횡단하기
박남희 / 8강
철학사 입문코스 Ⅵ : 오늘날의 철학
이정우 / 14강
현대회화의 사유 : 존재의 빛
이정우 / 8강
쇼펜하우어-염세주의 철학이 들려주는 위로의 음성
이동용 / 4강
계산할 수 없는 것, 소유할 수 없는 것 : 바디우의 진리철학의 핵심들
서용순 / 8강
인기근대성 논쟁의 뿌리 :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이근세 / 7강
하이데거와 함께 예술하기Ⅱ: 시와 회화로 보는 하이데거의 예술론
이선일 / 10강
문화철학입문
박정하 / 18강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V : 들뢰즈와 생명철학
이정우 / 13강
어펙트(Affect) 이론 입문
최진석 / 6강
철학자들 Ⅰ : 우리들의 니체 읽기
양운덕 / 8강
이정우의 세계철학사 대장정Ⅵ : 17세기 표현주의 형이상학의 세계
이정우 / 10강
니체의 잔인한 망치와 『우상의 황혼』
이동용 / 10강
들뢰즈의 친구들
이진경 외 / 6강
[합동강좌] 키워드로 읽는 들뢰즈
이지영 외 / 8강
들뢰즈의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읽기 시즌 Ⅱ
마상룡 / 8강
최근 이슈의 저작들로 살펴보는 인간의 마음과 과학기술
조광제 / 10강
니체와 초인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읽기
이동용 / 8강
칸트 비판철학, 비판적으로 읽기
이정일 / 8강
몸의 활용, 실천의 윤리를 위하여
조광제 / 8강
니체와 함께 춤을-『비극의 탄생』으로 만나는 니체
이동용 / 8강
추천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
권용선 / 12강
『존재와 차이』: 에가와 다카오의 들뢰즈론
이정우 / 8강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
임경석 / 8강
아우슈비츠 혹은 상처의 철학 : 잊을 수도 기억할 수도 없는 것
김진영 / 10강
『에티카』 - 스피노자의 욕망 이론과 자유의 윤리
손기태 / 1강
플라톤과 바타유, 『향연』과 『에로티즘』
김인곤 / 8강
프랑스 대표 지성사
허경 / 4강
철학자들 Ⅱ : 아감벤의 새로운 사고
양운덕 / 8강
파리에 대한 우울한 사랑 : 벤야민의 보들레르 읽기
김진영 / 8강
니체 극장
고명섭 / 1강
이미지의 시학 - 바슐라르 바로보기
김융희 / 8강
야스퍼스의 『비극론』과 실존을 위한 근거
이동용 / 8강
현대 철학의 개념-뿌리들 : 세계, 생성, 차이
이정우 / 6강
가다머의 의철학 : 기술학이 아닌 해석학으로서의 의학
박남희 / 16강
서구 존재론사 Ⅱ : 플라톤에서 베르그송까지
이정우 / 9강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가이드
이택광 / 7강
벤야민과 사유하는 미학 : 텍스트 읽기를 통한 ‘이미지-의미’의 생산
강수미 / 8강
아도르노 - 『미니마 모랄리아』 혹은 상처로 숨쉬는 법 Ⅰ
김진영 / 9강
죽음으로 읽는 서양 근현대 철학사
장의준 / 8강
기계주의 철학입문: 기계의 철학과 사물의 사유
오영진 / 5강
노자부터 데리다까지 : 도가사상과 현대철학 따라잡기
김시천 / 16강
현대조형공간의 혁명 : 공간에 대한 철학적 사유
이정우 / 13강
상처 혹은 유리병 속의 악보 : Th. 아도르노를 이해하기 위하여
김진영 / 10강
거짓말로 보는 철학사
이국배 / 8강
공간에서 장소로
이정우 / 7강
유럽 지성과의 산책 I : 역사의 뜰을 거닐다
오인영 / 4강
인기『자본론』의 이해
송태경 / 1강
아도르노 - 『미니마 모랄리아』 혹은 상처로 숨쉬는 법 Ⅱ
김진영 / 9강
크로스오버 인문학 : 지적 해방을 위한 가이드
최정우 / 8강
삶의 축제를 위한 니체의 『디오니소스 송가』
이동용 / 10강
유럽 지성과의 산책 Ⅱ : 역사의 뜰을 거닐다
오인영 / 8강
근대 주체의 안과 바깥
양운덕 / 9강
가다머의 철학
박남희 / 8강
마르크스와 미래의 기념비들
고병권 외 / 6강
멋진 인생과 니체의 문체론
이동용 / 10강
언어의 놀이, 언어철학
임상훈 / 7강
현대 철학의 4대 거장을 말하다
조광제 / 4강
인기해석학 : 그 철학적 문제의식의 심화 과정
반성택 / 16강
세 가지 개념을 통해 본 벤야민의 철학 : 변증법적 이미지, 유사성, 기억
고지현 / 12강
엥겔스,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 읽기
박정하 / 4강
니체와 17년간의 집필인생
이동용 / 8강
마음은 어떻게 뇌에서 생겨나는가?
조광제 / 8강
지젝과 그 적들
마상룡 / 4강
[합동강좌]일곱 가지 개념으로 알아보는 니체
백승영 외 / 7강
니체의 철학적 자서전 『이 사람을 보라』 읽기
이동용 / 10강
이정우와 함께 읽는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이정우 / 1강
디지털시대와 매체철학
조광제 / 18강
우리 눈으로 본 서양 근대철학사
최종덕 외 / 12강
눈(eye) 이야기들 - 시각의 문화와 철학
유충현 / 8강
과거, 역사, 현실 - 벤야민 읽기
김남시 / 6강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이진경 / 5강
로쟈와 함께 읽는 지젝
이현우 / 5강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진중권 / 1강
희생자 의식 민족주의와 대중독재의 기억
임지현 / 1강
몸 철학으로 본 감정의 세계
조광제 / 1강
매체철학의 중요한 쟁점들
조광제 / 14강
근대 모더니즘: 유럽 사상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조광제 / 8강
[합동강좌] 현대철학의 파노라마 : 20세기 철학의 주요 맥락
이정우 외 / 9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