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김진영 외:[합동강좌]8가지 스펙트럼으로 보는 실존주의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합동강좌]8가지 스펙트럼으로 보는 실존주의

강좌정보
2차 세계대전은 '실존주의'라는 철학 사조를 유행시켰다. 이 사조는 19세기 키에르케고르로부터 시작해 하이데거를 경유해 사르트르로 이어졌다.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작가와 철학자의 저작 속에서 '나는 실존한다'의 의미를 살펴본다.



각자도생, 나는 '실존'한다

실존주의는 19세기 덴마크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로부터 시작하여 하이데거, 사르트르로 이어진 철학의 흐름을 말한다. 실존철학의 가르침은 간단명료하다. 우리가 무한한 자유를 부여 받고 태어난 이상, 자신의 인생에 절대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삶의 태도는 사르트르를 통해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주장으로 나타난다.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

실존주의가 강조하는 것은 내가 여기 태어났다는 사실, 즉 여기 '있다’는 ‘실존’이 어떠한 논리나 목적보다 앞선다는 것이다. 정해진 것은 없으며 무한한 자유 속에서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뜻하며, 인간다워지기 위해 우리는 고군분투하며 살아가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독함이란 인간다움을 확보하기 위해 고유한 필수 덕목이다, '각자도생'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실존주의는 여전히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

1강~3강, 문학으로 살펴보는 실존주의

1강에서 3강까지는 현대 문학 작품 속에서 '실존'의 문제를 다룬 작품들을 감상한다. 카프카는 작품에서 인간 운명의 부조리를 고민하면서,  인간 존재의 불안을 통찰하여 현대 인간의 실존적 체험을 극한에서 다루었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변신』과 『성』에서 인간 실존의 문제를 초현실주의 기법으로 다루었다. 때문에 그를 '실존주의'문학의 선구자로 평가한다. 그리고 실존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카뮈 작품 『이방인』을 통해 뫼르소를 통해 구현된 삶의 부조리를 살펴본다.  


4강 카뮈의 실존주의

4강에서는 카뮈의 실존주의를 철학적으로 접근하면서. 카뮈가 파악하는 인간 실존이 무엇인지를 확인해 본다. 또한 삶의 부조리라는 갈등 속에 '머물기', '끝까지 도망가지 않기', '끝까지 반항하기'야말로 카뮈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했던 바였음을 알게 된다. 


5강 사르트르와 실존주의

5강에서는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 사르트르를 만난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는 사르트르의 명제에는 실존주의의 핵심이 담겨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과연 사르트르는 왜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고 했는지. 여기서 말하는 '본질'이란 무엇인지를 강좌를 통해 확인해 보자. 


6강 사르트르와 카뮈의 타자론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두 스타, 카뮈와 사르트르의 철학을 비교해 본다. 사르트르와 카뮈가 같은 실존주의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부분에서 달라지는지 그 분기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타자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다. 즉 ‘우리’의 선재성과 ‘나-타자’의 화해, 상생, 공존으로 기우는 카뮈와는 달리, ‘나-타자’의 관계에서 갈등과 투쟁을 강조하며, ‘폭력’을 통해 ‘우리’가 형성된다는 사르트르의 주장이 바로 그것이다. 


7강 실존주의 페미니즘: 시몬 드 보부아르, 『제 2의 성』

보부아르의 『제 2의 성』은 출판된 후 1주 만에 22,000권이 팔리고 미국에서는 번역되자마자 100만 부가 팔렸다. 그래서  '페미니즘의 성서'로 불리기까지 한다. 따라서 실존주의를 논함에 있어 시몬 드 보부아르의 실존주의 페미니즘을 뺀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타자로서의 여성을 이야기하면서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밝히고, 여성이 주체가 될 수 없는 이유를 살펴본다. 


8강 하이데거, 현존재와 실존

마지막 8강에서는 하이데거의 '각자성' 개념을 통해 '각자도생' 할 수밖에 없는 오늘날의 수많은 '나'라는 존재가 갖춰야 할 삶의 태도가 무엇인지 고민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나'는 지금 현재 내가 살아가고 있는 방식대로 반드시 계속해서 살아가야만 하는 존재가 아니다. 따라서 내가 누구이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책임져야 하는 당사자는 바로 '나'이다. 여기서 관건은 내가 나 자신으로 존재하느냐 마느냐이다. 즉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책임을 나 스스로가 솔직하게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바로 이것이 하이데거가 언급하고 있는 ‘각자성(Jemeinigkeit)’이고 현존재의 특징이기도 한 것이다. 

강사소개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카프카의 삶과 작품들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무너뜨릴 수 없는 아버지라는 존재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소설과 괴물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아버지와 뱀파이어 혹은 음식과 음악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