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독일 관념론의 붕괴와 비합리주의의 등장
-
신은 죽었다. 우리는 어떻게 스스로를 위로할 것인가?
-
-
-
탈근대성을 이끈 3인의 선구자
-
마르크스, 니체, 프로이트
-
-
-
윤리적 인간, 호모 에티쿠스의 탄생
-
덕과 윤리란 우리 각자가 만들어낸 것이어야 한다!
-
-
-
상처 입은 당신을 위하여
-
행복한 삶을 위한 친절한 안내서
-
-
-
포스트구조주의
-
권력, 욕망, 진리에 대한 해체와 재구성
-
-
-
과학 기술 시대의 존재론과 실존주의
-
과학, 기술에 대한 철학적 물음은 현존재가 가진 사유의 경건함이다
-
-
-
노장사상, 무위와 허무의 세계에 노닐다
-
무위자연과 소요유의 노장철학
-
-
-
혼돈의 시대에 공자와 맹자에게 길을 묻다
-
가치와 규범의 붕괴시대에 필요한 윤리 사상
-
-
-
해석학의 모든 것
-
해석학, 인간 이해의 본질을 밝히다
-
-
-
현대를 이끈 사유의 라이벌, 푸코VS들뢰즈
-
현대 사상사의 두 거인을 만난다
-
-
-
나를 비춰주는 7개의 철학 거울
-
철학이 묻고 내가 답하다
-
-
-
인문학에서 삶의 기술을 만나다
-
삶의 현장에서 실천적 지식이 되는 인문학
-
-
-
구조와 주체, 현대철학의 두 흐름
-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 인간 행위을 바라보는 두 시선
-
-
-
호모 사피엔스에서 호모 폴리티쿠스로!
-
민주화 이후를 생각하는 현대 정치철학
-
-
-
팬데믹 시대, 다시 필요한 뉴노멀 인문학
-
코로나19 시대에 요청되는 지혜와 성찰의 가치
-
-
-
니체 원전 읽기
-
원전으로 생생하게 만나보는 니체의 사유
-
-
-
독일고전철학의 전개
-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마르크스와의 만남
-
-
-
사랑한다면 철학자처럼
-
사랑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
-
-
프랑스 현대철학 에스프리
-
실존에서 구조로, 구조에서 차이로!
-
-
-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
인식의 기원이나 본질, 방법 등을 연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
-
-
-
인문학적 사고에 날개를 달아줄 수학/과학 강의
-
비전공자도 재미있게 들을 수 있는 교양 강좌들
-
-
-
미술관에 가기 전에 미리 알면 좋은 미술사
-
아는 만큼 보인다, 한눈에 보는 미술사
-
-
-
차이-다름이란 무엇인가
-
차이 개념에 대한 철학적 인식
-
-
-
이별은 많은데 애도는 없는 시대
-
죽음과 애도: 상실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
-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
구조는 인간의 사회관계와 행동양식을 규정한다
-
-
-
영화로 철학하기
-
안방 1열에서 듣는 영화 강좌들
-
-
-
인문학 공부의 출발점, 어학 강좌 모음전
-
기간 무제한 평생공부. 희랍어, 라틴어, 프랑스어, 일본어, 한문♥
-
-
-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
현상 속에 숨겨진 기호들의 의미를 파헤친다
-
-
-
지금, 장자(莊子)를 만날 시간
-
내 맘 같지 않은 세상에서 나다운 삶을 살아가는 법
-
-
-
봉인된 모든 것들은 꿈을 꾼다
-
철학자 김진영이 안내하는 소설의 새로운 독법
-
-
-
프로이트, 정신의 지도를 그리다
-
불안의 근원에 대한 탐사
-
-
-
욕망은 혁명적이다
-
들뢰즈와 가타리의 자본주의와 분열증 읽기
-
-
-
철알못을 위한 철학이란 무엇인가?
-
철(哲) 없는 당신이 들으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입문 강좌들
-
-
-
신자유주의의 맨얼굴을 읽다
-
신자유주의 세계화, 그 대안은 무엇인가?
-
-
-
무신론자가 들어도 좋을 종교 강의
-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온 궁극적인 가치체계
-
-
-
악의 평범성
-
악이란 인간이 이성적으로 사유하기를 멈출 때 발현한다.
-
-
-
스토아철학에서 배우는 삶의 기술
-
절제된 정신에서 나오는 소박한 삶의 자세
-
-
-
레닌의 유산
-
21세기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눈
-
-
-
현대 미술가들은 왜 그림을 그리지 않는가?
-
철학의 눈으로 보는 20세기 현대미술
-
-
-
비극적인 너무나 비극적인
-
서구 연극의 시원에 있는 고대 그리스 비극의 세계
-
-
-
무의식 세계로의 초대
-
헐벗은 자아와 맞닥뜨리는 의식의 심연을 찾아서
-
-
-
풍경의 수집가들을 위한 열혈 사진 정복기
-
삶이 앵글에 담기는 순간, 그것은 역사가 된다!
-
-
-
신화, 사유의 뿌리를 찾아서
-
인류의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대서사시
-
-
-
글쓰기,너무 잘 쓰려고 하지 마라
-
백색의 공포를 날려줄 글쓰기 강좌들
-
-
-
현대미술은 처음인데요?
-
소설보다 재미있고 철학보다 의미 있는 현대미술 이야기
-
-
-
에로티시즘
-
틈(interstice) 사이에 가려져 있는 현란함
-
-
-
금욕주의 vs 쾌락주의
-
헬레니즘 철학의 두 줄기: 스토아 vs 에피쿠로스
-
-
-
추방된 자들의 목소리
-
여성, 타자, 그리고 이방인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