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신규강좌]<시인 원재훈의 시 창작 강좌-시의 쓸모> 개강!
|
2022-06-15 |
<시인 원재훈의 시 창작 강좌-시의 쓸모> 개강!
시 읽기와 시 쓰기, 나를 사랑하게 하는 내 마음의 기술
원재훈 시인은 시란 ‘나 자신에게 하는 가장 진솔한 이야기’, ‘내 마음을 나에게 전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원재훈 시인과 함께 시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보고, 그 마음을 어떻게 쓰는가를 궁리하는 특별한 시간을 가져보세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jhwon001
|
공지 |
[신규강좌]<미와 숭고: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개강!
|
2022-05-18 |
<미와 숭고: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개강! 칸트 미학의 핵심을 읽는다 – 근현대 미학의 뿌리를 찾아서
칸트 미학의 전모를 담고 있는 『판단력 비판』. 얇지도 쉽지도 않은 책이지만, 근대 미학의 정점이자 탈근대 철학의 단초를 담고 있기에 꼭 읽어야 하는 책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현대의 철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 책을 자신의 준거와 대화상대로 삼아왔습니다. 미와 숭고라는 두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한 김상현 선생님의 강의를 통해 직접 그 내용을 읽고 음미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shKim034
|
공지 |
[신규강좌]<신유물론, 이론의 새로운 전장> 개강!
|
2022-05-04 |
<신유물론, 이론의 새로운 전장> 개강!
신유물론의 이해 - 현재 진행형의 이론적 탐험
현재 진행중인 현대 사상의 각축 속에 물질적 전회의 흐름이 거센 상황입니다. 이른바 ‘신유물론’이라는 운동이 물질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전개하며 생산적인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물질적 전회는 무엇이고 어떤 면에서 이 물질관이 새로운 것인지, 새로운 유물론은 과거의 유물론(고대 유물론, 근대의 마르크스주의 유물론)과 어떻게 다른지, 또 이 사상은 현실 속에서 어떠한 실천적 대안과 이어지는지 신유물론의 전모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박준영선생의 강의로 신유물론의 무기와 전술은 무엇인지, 그 현장을 체험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junypark018
|
3224 |
[신규강좌]<시인 원재훈의 시 창작 강좌-시의 쓸모> 개강!
|
2022-06-15 |
<시인 원재훈의 시 창작 강좌-시의 쓸모> 개강!
시 읽기와 시 쓰기, 나를 사랑하게 하는 내 마음의 기술
원재훈 시인은 시란 ‘나 자신에게 하는 가장 진솔한 이야기’, ‘내 마음을 나에게 전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원재훈 시인과 함께 시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보고, 그 마음을 어떻게 쓰는가를 궁리하는 특별한 시간을 가져보세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jhwon001
|
3223 |
[신규강좌]<미와 숭고: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개강!
|
2022-05-18 |
<미와 숭고: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개강! 칸트 미학의 핵심을 읽는다 – 근현대 미학의 뿌리를 찾아서
칸트 미학의 전모를 담고 있는 『판단력 비판』. 얇지도 쉽지도 않은 책이지만, 근대 미학의 정점이자 탈근대 철학의 단초를 담고 있기에 꼭 읽어야 하는 책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현대의 철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 책을 자신의 준거와 대화상대로 삼아왔습니다. 미와 숭고라는 두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한 김상현 선생님의 강의를 통해 직접 그 내용을 읽고 음미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shKim034
|
3222 |
[신규강좌]<신유물론, 이론의 새로운 전장> 개강!
|
2022-05-04 |
<신유물론, 이론의 새로운 전장> 개강!
신유물론의 이해 - 현재 진행형의 이론적 탐험
현재 진행중인 현대 사상의 각축 속에 물질적 전회의 흐름이 거센 상황입니다. 이른바 ‘신유물론’이라는 운동이 물질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전개하며 생산적인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물질적 전회는 무엇이고 어떤 면에서 이 물질관이 새로운 것인지, 새로운 유물론은 과거의 유물론(고대 유물론, 근대의 마르크스주의 유물론)과 어떻게 다른지, 또 이 사상은 현실 속에서 어떠한 실천적 대안과 이어지는지 신유물론의 전모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박준영선생의 강의로 신유물론의 무기와 전술은 무엇인지, 그 현장을 체험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junypark018
|
3221 |
[신규강좌]<릴케의 불안과 사랑> 개강!
|
2022-04-20 |
<릴케의 불안과 사랑> 개강!
주제들로 알아보는 릴케의 시 세계
우리에게 익숙한 「별 헤는 밤」에서 윤동주는 별을 보며 여러 이름을 부르고선 두 시인의 이름을 부릅니다.
그중 한 시인이 바로 ‘라이너 마리아 릴케’입니다. 머나먼 조선의 젊은 시인이 밤하늘에서 떠올린 그 독일 시인의 시들은 어땠을까요?
본 강좌는 한국에서 꾸준히 사랑받아온 시인 릴케의 시들을 읽습니다. 세기말의 불안 속에서도 삶과 사랑에 대해 써내려간 그의 시 세계와 만나보세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dylee093
|
3220 |
[신규강좌]<미셸 푸코,『지식의 고고학』 강의> 개강!
|
2022-04-06 |
<미셸 푸코,『지식의 고고학』 강의> 개강!
푸코 읽기의 난관, 그러나 반드시 만나야 할 『지식의 고고학』
『지식의 고고학』은 본격적인 방법론 서적으로 난해하기로 유명합니다. 이 강좌는 푸코의 강의와 다른 글들을 함께 읽으며 『지식의 고고학』에서 밝힌 방법론적 주제들이 어떻게 그의 다른 철학적 탐구에 적용되고 드러나며 발전하는지를 추적합니다.
그리하여 단순한 강독이나 해설 강의를 넘어, 고고학적 방법론을 통해 푸코 철학의 주제와 전개를 관통하는 독특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습니다.
쉽게 읽을 엄두가 나지 않는 『지식의 고고학』이지만, 심세광 선생님과 함께라면 프랑스 철학사와 푸코 사상의 전개라는 맥락 속에서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될 것입니다.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skSim053
|
3219 |
[신규강좌]<니체와 17년간의 집필인생> 개강!
|
2022-03-23 |
<니체와 17년간의 집필인생> 개강!
『비극의 탄생』에서 『권력에의 의지』까지 니체 저작 총정리
본 강좌는 『비극의 탄생』에서 『권력에의 의지』에 이르기까지 니체의 저서 15권 모두를 총정리 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17년간의 집필과정을 순서대로 따라가며 각 저서마다 니체가 주력하고 있는 이야기가 무엇인지 살피면서, 생철학과 허무주의, 초인, 대지, 비극, 바그너, 기독교 등 니체 철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핵심 요소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동용선생님과 니체의 17년간의 집필 과정을 따라가는 일은 운명을 긍정하고, 신명나게 춤추며, 거침없이 비상하는 생에 대한 태도로의 힘찬 도움닫기가 되어줄 것입니다.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dylee092
|
3218 |
[신규강좌]<조지프 캠벨의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읽기> 개강!
|
2022-03-08 |
<조지프 캠벨의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읽기> 개강!
신화 속 영웅에서 찾는 내 삶의 나침반
본 강좌는 조지프 캠벨의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을 읽으며 영웅과 그의 여정을 살피고, 궁극적으로는 영웅과 신화의 이야기가 오늘날의 개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특히 캠벨의 신화 연구에 원용이 되는 융 심리학을 포함하여, 원질신화, 영웅의 여정과 단계, 세계 각지의 신화·전설·민담들 뿐만 아니라 감정과 꿈의 중요성, 형이상학적 의미로서 신화, 모성 원형 등과 함께 오늘날 신화의 의미 등을 살핌으로써 ‘나’라는 개인의 신화 구축을 위한 출발점으로 인도합니다.
내면의 귀한 것으로 여정을 떠나고 싶다면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읽기에 함께 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yeongkim005
|
3217 |
[신규강좌]<푸코의 『말과 사물』 읽기> 개강!
|
2022-02-23 |
<푸코의 『말과 사물』 읽기> 개강!
『말과 사물』은 거대하고 야심찬 기획입니다. 푸코는 서구 지식 공간의 역사를 에피스테메의 고고학을 통해 탐구함으로서, 근대의 인간학과 인간 주체가 탄생하고 사라져 갈 역사적 산물임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역사적 탐구에 그치지 않고 인간 이후의 삶이 가지는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하기 위한 비판적 기획이기도 합니다.
박학의 넓이만큼이나 두꺼운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는 이 책은 이젠 언젠가 꼭 한 번은 읽어야 할 현대의 고전이 되었습니다.
푸코 전문가 심세광 박사와 함께 여전히 새로운 푸코를 만나보지 않으시겠어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skSim052
|
3216 |
[신규강좌] <기계주의 철학입문> 개강!
|
2022-02-09 |
<기계주의 철학입문: 기계의 철학과 사물의 사유> 개강!
기계주의란 우리가 기계가 만들어 가는 세상 속에 살고 있음을 인지하고, 세상을 만드는 행위자이자 세상 그 자체가 되고 있는 기계들을 사유하고 함께 살아가려는 시도입니다.
기계주의 세계관의 다양한 면모를 만나고 삶과 현실을 변화시키려는 실천으로서의 기계비평을 능숙한 가이드의 안내를 따라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yjoh007
|
3215 |
[신규강좌] 『오디세이아』와 『라마야나』 비교 읽기 개강!
|
2022-01-26 |
『오디세이아』와 『라마야나』 비교 읽기 : 신이 된 남자와 인간이 된 남자 개강!
시대가 영웅을 선택하는 걸까요? 아니면 영웅이 시대를 헤쳐 나가는 걸까요? 동서양의 서사시들은 우리에게 공동체와 사회에서 영웅이 갖는 의미뿐만 아니라,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자기 극복의 영웅에 관해서도 알려줍니다. 그런데 영웅의 무대는 ‘전장’에만 있지 않고 우리 ‘일상’에도 있습니다. 우리 모두 각자 자신의 무대에서 서시시의 주인공이 되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본 강좌는 동서양의 서사시 네 작품의 영웅과 영웅담(또는 모험담)을 살핍니다. 서사시에 대해 과문하더라도, 줄거리에 대한 선생님의 찬찬한 설명과 이해를 돕는 시각 자료들이 풍부하니 영웅의 여정에 함께 떠날 준비만 하면 됩니다. 같이 떠나 볼까요?
☞바로가기:https://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yeongkim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