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장의준:후설의 지향성②, 지향성 분석①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후설의 지향성②, 지향성 분석①

강좌정보
철학은 결국 관념론이 아닐까? 이 강의는 독일 관념론 전통에 속하는 후설의 현상학이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경유해서 메를로퐁티를 지나서 결국 사르트르와 카뮈 등의 프랑스 실존주의로 이르게 되는 여정(관념론의 여행!)을 보여주려는 목표로 기획되었다. 우선 현상학의 창시자인 후설의 현상학부터 만나보자.

독일 관념론 전통과 현대 프랑스 철학

일반적으로 마르크스주의, 니체, 정신분석, 이 세 가지는 현대 프랑스 철학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헤겔, 후설, 하이데거를 잊어서는 안 된다. 물론 마르크스주의, 니체, 그리고 정신분석을 빼놓고서 프랑스 현대 철학을 말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헤겔, 후설, 그리고 하이데거를 빼놓고서 프랑스 현대 철학을 말할 수 없다는 것도 역시 마찬가지로 사실인 것이다. 


심지어 더 나아가서, 우리는 적어도 1960년대 이래로 나타났던 현대 프랑스 철학의 모태로 간주되는 마르크스주의, 니체, 그리고 정신분석이 헤겔로 대표될 수 있는 독일 관념론에서 그 기원을 갖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를로퐁티는 자신의 저서인 『의미와 무의미』(1948)에서 마르크스주의, 니체, 정신분석, 후설의 현상학,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모두 헤겔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 바 있는데, 이것은 곧 후설이나 하이데거와 같은 관념론적 전통에 속하는 이들뿐만 아니라 마르크스주의, 니체, 그리고 정신분석과 같은 탈-관념론적 사유들도 역시 헤겔의 지평에서 (설령 헤겔에 반대한다고 하더라도!) 사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독일 관념론’이란 용어를 칸트에서 시작되어 헤겔에서 완성된 사유 전통을 가리키는 협소한 의미가 아니라, 한편으로는, 독일의 후설, 하이데거, 가다머,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상학적 지평 위에서 사유하는 프랑스 철학자들(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데리다 등등)까지 모두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면, 결국 현대 프랑스 철학은 독일 관념론에 의해 추동된 독일 관념론을 떠나려는 운동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철학을 추동하는 힘, 관념론

물론 자신의 시대에 서로 경합하고 있던 독일과 프랑스의 사유들이 ‘모두’ 헤겔로 환원될 수 있다고 보는 1948년의 메를로퐁티의 주장은 과하다. 그러나 이렇게 볼록렌즈스럽게 부풀려진 관점에 대한 경각심으로 인해 독일 관념론과 현대 프랑스 철학 간의 관계를 오목렌즈스럽게 과소평가하는 것도 역시 문제가 있다. 사태는 너무 커도 안 보이지만, 너무 작아도 역시 안 보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들뢰즈와 같은 사상가들을 관념론에 전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유물론자로 보는 ‘순수한’ 관점은 그 순수함으로 인해 사실상 시력을 잃은 관점이다. 관념론적이지 않은 철학이 가능하기는 한 것일까? 철학은 과연 관념론을 떠날 수 있을까? 철학을 추동하는 힘은 결국 관념론이 아닐까?


​관념론의 힘. 우리는 두 개의 강의, <현상학에서 실존주의까지Ⅰ>과 <현상학에서 실존주의까지Ⅱ>를 통해서 (하나의 관점으로만 기울어지는 것을 피하는 가운데!) 독일 관념론 전통이 현대 프랑스 철학에 미친 영향(사)를, 특히 후설의 현상학이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경유해서 실존주의로 이르게 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해서, 보게 될 것이다. 이 두 개의 강의는 후설의 현상학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후설이 열어준 현상학적 사유 방식이 메를로퐁티, 사르트르, 카뮈, 이 세 명의 프랑스 사상가들에게서 하이데거의 매개를 통해 어떻게 수용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할 것이다.


현상학 입문, 철학 입문

이 강의, <현상학에서 실존주의까지Ⅰ>에서 주로 다루게 될 중심 내용은 후설의 현상학이다. 현상학의 창시자인 후설의 현상학이다. 후설의 현상학은 어렵다. 이미 내용의 측면에서 볼 때 충분히 어려운 후설의 현상학은 그 개념들의 낯섦에 의해 (그리고 역시 그 개념들을 사용하는 후설의 낯선 방식 때문에도!) 더 어려워진다. 이 강의는 철학과 친숙하지는 않지만 현상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마련되었다. 따라서 이 강의가 목표로 하는 것은 이중적인 입문인데, 그것은 현상학으로의 입문과 철학으로의 입문이다. 말하자면, 이 강의는 철학개론의 역할과 현상학개론의 역할이라는 이중적인 과제를 지니게 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중적인 입문을 목표로 하는 본 강의는 철학 및 후설 현상학과 거리를 두고 있는 철학/현상학 입문자들이 후설 현상학의 난해한 개념들에 좀 더 (손)쉽게 접근하는 것을 최우선의 강의진행 원칙으로 삼게 될 것이다. 


​​

강사소개
강좌보기
    • 1교시 의식과 대상의 관계에 관한 3개의 해석과의 차이를 통해서 본 후설의 지향성 개념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결국 문제는 상관관계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지향성 분석① : ‘지향적 내용’으로서의 ‘의미’와 ‘지향된 것’으로서의 대상-1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지향성 분석① : ‘지향적 내용’으로서의 ‘의미’와 ‘지향된 것’으로서의 대상-2
    • 강좌보기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