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이정우:이정우의 푸코 읽기: 『광기의 역사』3부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이정우의 푸코 읽기: 『광기의 역사』3부

강좌정보
우리는 여전히 소외와 배제의 시대에 살고 있지는 않은가?! 푸코의 눈으로 고전주의 시대의 ‘광기의 역사’를 바라보며, 현대 사회 속의 타자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져보는 시간!

수용소의 해방, 풀려난 ‘광기(狂氣)’   


고전 시대의 광인(狂人)은 빈곤자, 마법사 등과 같이 비이성으로 취급되어 수용소라는 장소에 갇히게 되었다. 하지만 수용의 반동(反動)은 오히려 수용시설 자체에 대한 공포를 만들어내고 수용을 통해 가둬두려 했던 것들이 오히려 폭발적인 대공포와 공황을 낳아버렸다. 결국, 갖은 비이성을 감금하던 도시의 수용소는 해체되어 광기 또한 해방을 맞이하고, 프랑스 대혁명을 기점으로 찾아오는 유럽 사회의 대대적인 개혁은 비이성의 범위 안에서 광기(狂氣)를 떨어뜨려 새로운 형태의 감금과 수용을 요청하게 된다.



정신병원의 탄생  


이전까지의 수용소가 해체되었다 하더라도 수용 자체가 가지는 권력은 여전히 자리 잡고 있었다. 또한, 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광기(狂氣)는 정신적인 질병으로 인식되게 되는데, 의학의 권력과 이전 시대로부터 이어지는 수용의 권력이 손을 잡는 순간 ‘정신병원’이 탄생하게 된다. ‘정신병원’은 이전의 수용소와는 달리 오직 광인(狂人)만을 잡아두기 위한 특화된 장소로 의료인이 유일한 권력 세력이 되는 특수한 형태의 보호시설이었으며, 이러한 점은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학에 이르며 더욱 극명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새로운 시대, 광기(狂氣)의 면면  


19세기에 들어서며, 광기(狂氣)는 ‘광인(狂人)의 해방’이 아닌 광기의 자유에 대한 문제로 논의되기 시작한다. 더 이상 ‘광기’는 어떠한 이성 혹은 주류의 사회로부터 배제되는 것이 아니었고, 오히려 자기 자신의 존재와 내면의 진실로부터 멀어지는 새로운 형태로서 인식되게 되었다. 이리하여 ‘광기’는 비인간적 비이성이라는 족쇄로부터 풀려나 하나의 병(病)으로 치료받거나, “길을 잃고서 영원히 방황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에 의해 예술 작품과 같은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미셸 푸코의 『광기와 역사』는 내용의 심오함과 더불어 표현의 난해함으로 인해 쉽게 이해되기 어려운 저서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이정우 교수가 해설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이해해나간다면 푸코의 배제에 대한 생각을 엿보는 동시에 지금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일어나고 있는 소외와 배제의 문제들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하게 되는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이규현 역, 나남, 2003)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르네상스 시대의 광기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수용소의 탄생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감금의 대상과 푸코의 서구 모더니티 비판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이성 vs. 비이성, 그리고 광기의 역사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