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문화예술음악배경화는 원근법의 도입인가?

강좌정보
현대 미술에서 고대 그리스 철학을 만나다! 실재를 재현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되었던 미술 사조, 그 이면에 숨어 있는 플라톤주의와 반(反)플라톤주의의 대립을 살펴본다. 현대 미술 속에서 다시 화려하게 부활하는 ‘플라톤주의’를 만나보자.

철학, 미술을 말하다! 


미술사학자인 곰브리치는 『서양미술사』에서 그림을 그리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하나는 ‘보이는 대로’ 그리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아는 대로’ 그리는 방법이다. 둘 중 어떤 방법이 사물의 본모습을 ‘재현(representation)’하는 올바른 방법일까?​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천재 예술가들은 재현의 방법으로 ‘원근법’을 사용했다. 즉 ‘보이는 대로’ 그림을 그리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원근법을 사용하면 실제 사물의 크기와 무관하게 거리에 따라 크기를 달리 표현해야 한다. 과연 원근법은 바람직한 재현의 방법일까? 오히려 ‘신’의 가르침에 따라 ‘아는 대로’ 묘사하고자 했던 중세 예술가들의 방법이 더 ‘객관적’ 재현이 아닐까? 


우리는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정우 교수와 함께 타임머신을 타고 고대 그리스로 여행을 떠날 것이다. 여행에서 우리는 서양 철학사의 두 원류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만날 것이다. 이들로부터 더 객관적인 재현 방법이 무엇인지 각 입장을 접하게 된다. 



실체 없이 유동하는 탈-원근법의 세계 


이정우 교수와의 여행은 고대 그리스에서 끝나지 않는다. 우리는 다시 타임머신을 타고 타임워프를 하듯 현대 미술과 철학의 세계로 돌아올 것이다. 


과학 기술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현실은 끝없이 유동하는 세계이다. 현대인들은 끝없이 욕망을 자극하는 광고와 정보 홍수 속에 둘러싸여 옴짝달싹할 수 없게 되었다. 진실과 거짓의 구분 또한 의미가 사라진지 오래다. 이른바 시뮬라크르의 시대다. 그래서 미술 또한 더 이상 ‘재현’을 고민하지 않게 되었다. 원근법으로 재현을 꿈꾸었던 미술은 사라지고 모호함과 난해함으로 가득 찬 현대 미술세계가 펼쳐진다. 그렇다면 우리는 현대 미술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철학적 사유의 대상으로서의 예술! 


이정우 교수는 현대 미술의 의미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경로를 지도로 제시한다. 지도에 표시된 지명은 칸딘스키, 말레비치, 잭슨 폴록 등이다. 


지도를 펼쳐놓고 나침반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칸딘스키의 작품 <점, 선, 면>이 상징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다. 말레비치가 “예술은 단순한 향유의 대상이 아니라 철학적 사유의 대상이다.”라고 했던 이유 또한 깨닫게 될 것이다. 


이정우의 <원근법과 반(反)원근법> 강의는 복잡한 미로처럼 얽힌 현실 세계를 살아가는 현대인이라면 반드시 들어야 할 강의이다! 미술은 현실의 반영이다. 현대 미술 속에는 삶의 가치를 상실한 채 살아가는 현대인의 난처한 현실이 표현되어 있다. 동시에 현대인이 처한 난처함을 극복할 수 있는 내면의 힘 또한 보여주고자 한다. 하지만 현대 미술에서 이 두 가지를 모두 보기 위해서는 ‘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읽는 것’이 필요하다. 그 읽기 방법을 이정우의 <원근법과 반(反)원근법>이 제시한다. 마치 미네르바의 부엉이가 황혼녘이 되어야 날갯짓을 하듯!​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예경, 2013), 플라톤의 『국가』(서광사, 2005),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서광사, 2000),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고려대학교출판부, 2009),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이제이북스, 2007) 등.
강좌보기
    • 1교시 선의 원근법과 각의 원근법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헬레니즘 시대와 스토아주의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사상술과 허상술의 구분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플라톤과 원근법 정리
    • 강좌보기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