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고령화를 먼저 겪은 일본
UN이 정한 기준에 따르면 65세 이상이면 ‘노인’으로 보고, 해당 국가의 총인구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장수 나라로 알려져 왔던 일본은 이미 1970년에 고령화사회로, 이어 94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했으며, 드디어 올해 고령사회에 도달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빠른 고령화 속도로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미진한 실정이다. 언론에서는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노년, 일본으로부터 해답을 찾는다
그렇다면 어디에서부터 초고령사회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할까? 본 강의는 ‘노인’에 대한 새로운 정의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의학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과 건강 상태가 개선되면서 기존의 노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세대로 이 시대의 노인을 새롭게 인식해야 한다는 것. 연이어 일본 고령사회의 중심축, ‘단카이 세대’가 이전 노인들과 달리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분석한다.
지역 데뷔, oo난민 그리고 시니어 시프트
이 세 개의 키워드는 일본 고령사회 전반을 빠르게 파악하도록 도와준다. 일본 정부는 ‘지역 데뷔’를 통해 노인과 지역 사회를 연결하면서 이들이 상생 관계를 구축하도록 장려했고, 기업들은 새로운 소비주체로 떠오른 노인들을 겨냥해 다양한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 ‘시니어 시프트’ 현상을 보여주었다. 한편 노인들이 인간 관계가 축소되고 새로운 생활 양식을 수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이들을 ‘ㅇㅇ난민’이라 부르는 신조어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간병의 사회화가 필요하다!
고령사회의 변화를 몸소 체험한 일본은 노인에 대한 사회적 대책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이때 가장 주목해야 하는 것은 ‘간병의 사회화’이다. 노화된 신체로 인해 급증하는 ‘치매’는 본인뿐만 아니라 이들을 보살피는 가족과 맞물려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했다. 이에 일본은 개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간병을 사회적 책임으로 인식하고 지역 포괄 케어시스템과 오렌지 플랜 등을 실행함으로써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식이 한국 사회에도 필요한 시점이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이 고령사회에 미치게 된 영향을 본 강의에서 함께 살펴본다.
노후 대비를 위한 친절한 ‘은퇴 설계 매뉴얼’
그렇다면 개인적 차원에서는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어떠한 대비를 해야 할까? 김웅철은 은퇴자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 인간관계, 취미 등 우리가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비책을 제시한다. 또한 참고할 만한 미디어 콘텐츠와 책,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함으로써, 우리가 노년에 대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김웅철(전 매일경제 도쿄특파원, 경제방송 EBC 대표)
서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상명대에서 '액티브 시니어의 지역 참여 활성화'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에 <매일경제>에 입사해 도쿄특파원(2002~2005년), 국제부장(2014~2015), 매경비즈 대표를 역임했다. 2001년 일본 게이오대학 경제학부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수학했다. 현재는 경제방송 EBC 대표로 일하며 고령화가 몰고 올 사회 변화와 '젊은 노인'들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일본어회화 무작정 따라하기』가 있고, 『생각을 이기는 행동의 힘』, 『아직도 상사인줄 아는 남편, 그런 꼴 못보는 아내』, 『복잡계 경제학』, 『대공황 2.0』, 『일본파산』, 『편식의 기술』 등 일본 서적을 다수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