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강의개요
"어떻게 살 것인가"는 인류가 오랜 시간 천착해온 근본적 물음이다. 이 강의는 실천철학의 핵심 주제들을 통해 이 질문에 접근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론 학문과 구분했던 실천 학문, 즉 윤리학과 정치철학의 기본 개념들을 철학사적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덕, 선과 악, 국가, 정의라는 네 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 강의는 단순한 개념 학습을 넘어선다. 고대 그리스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자들이 이 문제들을 어떻게 사유했는지 추적하며, 동시에 동북아 전통과의 비교를 통해 사유의 폭을 확장한다.
■ 강의특징
이 강의의 가장 큰 특징은 서구 철학과 동북아 사상의 비교적 접근이다. 그리스의 '아레테'와 동양의 '덕' 개념, 서양의 정의론과 동북아의 조화 사상을 대비하며 각 전통의 고유성과 차이를 명확히 드러낸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 스피노자, 칸트, 니체 등 주요 철학자들의 실천철학을 깊이 있게 다룬다. 칸트의 정언명법, 스피노자의 '기쁜 만남', 니체의 윤리학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구체적으로 탐구한다.
철학사적 흐름을 따라가되 추상적 이론에 머무르지 않는다.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 플라톤의 『국가』, 아이히만 사례 등 구체적인 텍스트와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개념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 추천대상
철학에 관심은 있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이들에게 적합하다. 이론철학보다 삶의 문제에 직접 닿아 있는 실천철학은 철학 입문자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도덕과 윤리, 정의와 법, 국가와 정치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보고 싶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유익하다. 뉴스를 볼 때마다 느끼는 불편함, 사회 현상에 대한 의문들을 철학적으로 정리하고 싶은 이들에게 명확한 사유의 틀을 제공한다.
인문학 교양을 체계적으로 쌓고 싶은 대학생, 직장인, 그리고 동서양 사상의 차이를 이해하고 싶은 이들에게도 추천한다.
■ 수강팁
먼저 각 강의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덕(아레테), 선과 악, 자연법과 실정법, 정의 등의 개념이 철학자마다 어떻게 다르게 정의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자.
동서양 비교 부분에서는 단순히 차이만 보지 말고, 왜 그런 차이가 발생했는지 역사적·문화적 맥락을 함께 생각해보면 좋다. 그리스의 폴리스와 중국의 천하 체제라는 서로 다른 정치적 배경이 철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결 지어보자.
각 철학자의 주장을 현대 사회에 적용해보는 연습도 필요하다. 칸트의 정언명법으로 오늘날의 윤리적 딜레마를 판단해보거나, 플라톤의 국가론으로 현대 정치를 분석해보는 식이다.
■ 수강후기에서
수강생들은 특히 구체적 사례를 통한 설명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아이히만 재판을 통해 칸트 윤리학의 한계를 보여주거나, 『안티고네』로 자연법과 실정법의 갈등을 설명하는 방식이 추상적 개념을 생생하게 이해하도록 도왔다는 평가다.
동서양 사상의 비교가 신선했다는 반응도 많다. 서양 철학만 배우다가 동북아 전통의 관점을 접하면서 사유의 지평이 넓어졌다고 말한다. 특히 그리스의 정의 개념과 동양의 조화 사상을 대비하는 부분에서 많은 통찰을 얻었다고 한다.
■ 마치며
실천철학은 머리로만 이해하는 학문이 아니다. 궁극적으로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자신만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이 강의는 그 여정의 든든한 나침반이 되어줄 것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현대까지 이어진 철학자들의 사유는 단지 과거의 유산이 아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가 마주한 윤리적 딜레마, 정치적 갈등, 정의에 대한 물음에 여전히 유효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 강의를 통해 삶의 실천적 지혜를 얻어가기를 바란다.
이정우(철학자, 경희사이버대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공학, 미학, 철학을 공부한 후,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교수, 녹색대학 교수,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철학아카데미 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경희사이버대 교수로, 들뢰즈 <리좀 총서> 편집인으로 활동 중이다. 해박한 지식으로 고대철학과 현대철학,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가로지르며, 철학과 과학을 융합하는 등 ‘새로운 존재론’을 모색해 왔다. 다수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이정우의 철학 Youtube 채널, [소운서원(逍雲書院)]
https://www.youtube.com/@sowoonseo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