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대미술은 무엇이며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나는가
역사는 늘 오늘 새롭게 재구성되는 어제인 동시에, 그 어제의 이야기를 통해 오늘을 말하는 작업이다. 예술의 역사도 다르지 않다. 그렇지만 현대미술의 역사는 통상의 고전적인 미술사와는 경우가 많이 달라 보인다. 죽은 고전들의 목록으로 재구성되는 기존의 미술사와는 달리, 현대미술의 역사는 현재의 이해와 너무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기점을 어떻게 잡느냐부터 전혀 다른 계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그러니 물어 보자. 최근의 비평적 관점에서 새롭게 쓸 수 있는 현대미술의 역사는 어떤 것이냐고. 여기 그 답이 있다.
그리고 우리와 무슨 관련이 있는가
이 강좌는 세잔으로부터 현대미술의 기점을 잡아 그 방법(메소드)의 역동적인 전개를 축으로 현재까지의 미술사를 정리해 보려는 작업이다. 그렇지만 단순히 역사를 정리해서 재밌게 들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대부분의 미술 이야기에서 간과되는 질문을 끝까지 함께 안고 간다. 그것은 ‘이 이야기들이 우리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이다. 다시 말해 특정한 시대적 배경에서 특별한 개인들이 시도한 새로운 흐름이 한국이란 나라의 미술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그 실질적인 연관관계와 의미를 놓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덕분에 우리는 강의를 들으며 종종 당시 만들어진 오해와 무지가 어떻게 현재까지 이어져 역사의 풍요로운 디테일들을 놓치게 되었는지 새로운 시야가 트이게 된다.
미니멀리즘부터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전후 추상표현주의의 시대가 저물고 새로운 조류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크게 보면 추상과 구상의 양 극을 따라 반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런 반복은 차이의 새로움을 갖고 있다. 게다가 새로운 문물과 이념과 결합되는 다양한 방향성은 반복이란 구도로 포착할 수 있는 풍부한 디테일을 담고 있다. 물성으로의 회귀와 현상학적 반성이 미니멀리즘으로 이어지는 건 추상표현주의에 대한 당연한 반동이었겠지만, 팝아트는 소비 사회의 출현에 대응하는 전혀 새로운 계기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미니멀리즘의 상대항으로서 추상에서 개념으로 향하는 새로운 움직임도 등장했다. 물론 순수한 미술적 대상인 색채에 대한 다양한 탐구와 모색이 또 다른 차원의 동역학으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었다. 그리고 많은 것들을 집어삼킨 강력한 정치미학적 물결인 포스트모더니즘이 도래했다. 대략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이르는 한 세대의 미술은 이렇게 풍부한 방향성과 역동성으로 넘쳐났고 현대미술의 첫 인상을 복잡다기함으로 느끼게 만드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하나의 양식이 한 시기를 지배하는 시대는 영원히 끝이 났기 때문이다.
임근준(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서울대학교에서 디자인을 공부한 뒤, 미술이론과정에서 석사학위를,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4/1995년부터 2000년까지 미술가/디자이너이자 인권운동가로서 실험기를 보냈다. 1999년부터 2013년까지 디자인 연구자 모임인 DT 네트워그 동인으로 활동했고, 계간 ≪공예와 문화≫ 편집장, 한국미술연구소/시공아트 편집장, 월간 ≪아트인컬처≫ 편집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이후 당대미술이 붕괴-해체되는 과정에서 마땅한 돌파구를 찾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통사로서의 현대 한국/아시아 미술사를 작성하는 일'과 '아프로아시아나의 새로운 상호 연결성으로 문화예술의 미래를 창출하기'를 인생의 과업으로 삼고 있다. 『이것은 과연 미술인가』(가제), 『현대디자인은 어디로 가는가?』, 『메소드: 방법론으로 공부하는 20·21세기 현대미술의 역사』(가제) 등을 순차적으로 발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