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이승현:『#가속하라 - 가속주의자 독본』 강독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가속하라 - 가속주의자 독본』 강독

■ 강의개요

"가속하라!"는 단순한 미래로의 질주가 아니다. 가속주의는 현재 자본주의의 위기를 날카롭게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21세기의 급진적 사상이다. 현실 사회주의 몰락 후 30여 년, 우리는 여전히 낡은 좌우 구도의 논쟁을 반복한다. AI의 파괴적 발전, 2008년 금융위기 이후의 장기 침체, 플랫폼 자본주의의 등장, 양극화 심화, 기후위기까지. 이 모든 현실을 어떻게 포괄적으로 사유할 것인가.

가속주의는 사변적 실재론에서 뻗어나온 철학적 흐름이자, 기존 정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실천적 제안이다. 이 강의는 『#가속하라 - 가속주의자 독본』을 중심으로 가속주의의 역사와 핵심 텍스트를 강독한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시작해, 리오타르의 리비도 경제, 닉 랜드의 사이버네틱스, 마크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 닉 서르닉의 플랫폼 자본주의, 그리고 기본소득과 같은 실천적 대안까지 탐구한다. 홍익대 이승현 교수가 경제학과 출신의 배경을 살려 이론과 현실을 긴밀히 연결하며 풀어낸다.

■ 강의특징

이 강의의 핵심 강점은 추상적 이론과 구체적 현실을 결합한다는 점이다. 경제학을 전공하고 금융업에 종사했던 강사의 배경은 자본주의 분석을 실감나게 만든다. 플랫폼 자본주의를 설명하며 배달앱과 카카오택시를 언급하고, 현대화폐이론(MMT)을 다루며 연준과 금리 정책을 분석하고, AI의 사회적 충격을 논하며 챗GPT 시대의 노동을 고민한다. 철학적 개념들이 우리 삶의 구체적 문제와 맞닿는 순간, 가속주의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절실한 현실 진단이 된다.

8강 32교시 구성은 가속주의의 계보를 체계적으로 따라간다. 1강 들뢰즈-가타리의 자본주의 비판에서 코드화·탈코드화·탈영토화 개념을 다루고, 2-3강 리오타르의 리비도 경제와 닉 랜드의 사이버네틱스를 통해 가속주의의 이론적 토대를 쌓는다. 4강 마크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은 "자본주의 말고는 상상할 수 없는" 현실을 진단한다. 5-6강 가속주의 정치선언과 플랫폼 자본주의 분석은 2008년 위기 이후 세계를 명쾌하게 설명하며, 7-8강은 AI 시대의 파국과 기본소득 같은 실천적 대안을 제시한다.

강의는 텍스트를 꼼꼼히 읽고 해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자본주의 리얼리즘』, 『플랫폼 자본주의』, 『더 커밍 웨이브』 같은 핵심 저서들을 함께 참조한다.

■ 추천대상

현대 자본주의의 모순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싶은 직장인,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 변화를 이해하고 싶은 사람, 청년실업과 부동산 문제가 단순히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지구적 자본주의 위기의 일부임을 알고 싶은 이에게 적합하다. 현대 비판이론을 공부하는 대학원생, 사회학이나 경제학 전공자에게도 유익하다.

다만 철학적 배경이 어느 정도 있어야 따라가기 쉽다. 들뢰즈와 가타리, 리오타르 같은 이론가들의 이름이 낯설다면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안티 오이디푸스』나 포스트모던 이론에 대한 기본 이해가 있으면 더 좋다. 하지만 철학 입문자라도 4강 마크 피셔나 5-6강 플랫폼 자본주의 부분은 충분히 접근 가능하다.

■ 수강팁

1-2강 이론 중심 부분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는 이후 논의의 토대다. 처음엔 코드화·탈영토화 같은 개념이 외계어처럼 느껴져도, 3강부터 점차 흐름이 잡힌다. 강의록을 프린트해서 필기하며 듣고, 모르는 개념은 따로 정리해두자.

4강부터 본격적으로 흥미로워지므로, 초반이 어렵다고 포기하지 말자. 특히 4강 자본주의 리얼리즘과 5강 정치선언 부분이 하이라이트다. 이 부분만이라도 집중해서 듣는다면 가속주의의 핵심 문제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

강의 중 언급되는 책들-『자본주의 리얼리즘』, 『플랫폼 자본주의』, 『안티 오이디푸스』-을 병행해서 읽으면 이해도가 높아진다. 모든 책을 다 읽을 필요는 없지만, 관심 가는 부분은 원문을 찾아보자. 8강 완강 후 관심 있는 강의를 재수강하면 처음엔 놓쳤던 내용이 명확해진다.

■ 수강후기에서

수강생들은 "자본주의를 다시 보게 됐다"고 말한다. 매일 쓰는 배달앱이 플랫폼 자본주의의 구조라는 걸 알고 소름 돋았다는 반응, 회사 구조조정이 개인의 실패가 아니라 시스템의 문제였다는 깨달음이 이어진다. "현실 진단이 날카롭다"는 평가가 압도적이다.

"경제위기 이후 세계를 이해하는 프레임을 얻었다"는 후기도 많다.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장기침체, 청년실업, 플랫폼 경제의 연결고리가 명쾌하게 설명된다는 것이다. MMT나 연준 정책 같은 구체적 경제 분석이 인상적이었다는 반응도 있다.

다만 난이도에 대한 의견은 엇갈린다. "철학 배경 없으면 힘들다", "리오타르 리비도 경제는 세 번 들어도 이해 못 했다"는 솔직한 고백도 있다. 반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다", "핵심만 콕콕 짚어주는 스타일"이라는 평가도 있다. 8강 마지막 인구 감소와 자본주의 시간 구조를 연결한 분석은 많은 이에게 충격적이었다고 한다.

■ 마치며

가속주의는 미래로의 맹목적 질주가 아니라, 현재를 직시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사유다. 자본주의는 영원하지 않으며, 그 이후를 상상할 수 있다는 것. 기술 발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재전유하여 해방의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것. 기본소득, 노동시간 단축, 플랫폼의 공공화 같은 구체적 대안을 논의할 수 있다는 것. 가속주의가 제시하는 이 가능성들이 실현될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최소한 현재 자본주의의 위기를 정확히 진단하고, 다른 세계를 상상할 용기를 준다는 점에서 이 사상은 진지하게 검토할 가치가 있다. 8주간의 여정을 통해 당신도 가속주의자가 될 수 있을까. 지금, 이 급진적 사유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강사소개
교재소개
『#가속하라 - 가속주의자 독본』(로빈 맥케이·아르멘 아바네시안 엮음, 김효진 옮김, 갈무리, 2023)

- 참고문헌
『안티 오이디푸스』(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지음, 김재인 옮김, 민음사, 2014)
『자본주의 리얼리즘』(마크 피셔 지음, 박진철 옮김, 리시올, 2024)
『플랫폼 자본주의』(닉 서르닉 지음, 심성보 옮김, 킹콩북, 2020)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크리스토퍼 레너드 지음, 김승진 옮김, 세종, 2023)
『더 커밍 웨이브』(무스타파 술레이만 지음, 이정미 옮김, 한스미디어, 2024)
『사회신용』(클리포드 H. 더글러스 지음, 이승현 옮김, 역사비평사, 2016)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가속주의의 역사 ─ 책의 구성과 강의의 개요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서문 ─ 가속주의의 맥락, 진단과 전망, 테제들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문명, 자본주의, 기계」 1 ─ ‘자본의 충만한 몸’ ~ ‘돈의 두 형식’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문명, 자본주의, 기계」 2 ─ ‘경향적 저하’ ~ ‘흐름들’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