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이지영:예술의 기호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예술의 기호

강좌정보
들뢰즈는 어려운 철학자다! 그가 다루는 사유는 너무나 방대하고 어려우며, 비체계적이기까지 하다. 그가 말하는 예술은 이미 어려움에 어려움을 가미해 어려움의 극치를 달리고 있다. 그래서 마련한 강좌! 들뢰즈? 우선 쉽게 가자! 예술? 그것도 들뢰즈 밟고 쉽게 한 번 가보자!

예술이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이지영 또 한번 들뢰즈를 말하다!

<시네마>강의에서 한껏 재량을 뽐냈던 이지영이 돌아왔다. 안그래도 어려운 들뢰즈 강의를 졸면서 들을수는 없는 일!

그녀의 강의가 가진 강점이라면 또랑또랑한 목소리와 친절한 예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녀는 설명을 위해 먼 곳에 있는 사물들을 끌어오지 않는다. 그저 책상 앞에 있는 사물들. 내 앞에 있는 사람. 이 모든 것들이 생생한 들뢰즈 예술론의 교보재가 된다.

 

우정은 NO! 질투는 OK!

철학에는 <친구>가 등장한다. 프루스트가 철학과 우정에 동일한 비판을 했다는 것은 중요하다. 친구들은 사물과 말의 의미에 대해 서로서로 일치하는 선 의지를 가진 정신들과 같다.

- 들뢰즈 『프루스트와 기호들』中


친구는 모자라다. 늘 자신들의 공감대 위에서만 활동을 한다. 그들은 '너도 그렇게 생각하니? 나도 그런데' 라는 대화패턴을 유지하며 자신들이 가진 안전범위를 털끝만치도 벗어나려 하지 않는다. 그들이 새로운 정보라며 공유하는 것 조차도 기존의 사고를 전환하는 계기가 되지 못한다.

 

우정과 철학은 그렇다. 그것들은 늘 정해진 이성의 빛만을 죄고있다.

진짜 사유는 음습한 음지에서만 가능하다는 것도 모른채…….

 

진실을 찾는 자는 애인의 얼굴에서 거짓의 기호를 알아채는 질투에 빠진 남자인다.

- 들뢰즈 『프루스트와 기호들』中


진실을 찾는 자는 그야말로 민감한 사람이다. 그건 마치 들뢰즈의 말처럼 질투에 빠진 남자와 같다.

 

질투에 빠진 남자는 자신의 연인의 표정과 몸짓에서 모든 것을 읽어내려 한다. 상대방이 곁눈질하는 모습에서며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리는 손가락의 움직임까지……. 진실을 찾아내려는 자는 그렇게 허튼 기호 하나하나마저도 허투루로 흘려보내지 않는다.

 

예술이 모든 것을 바꾼다.

예술은 보존하며 또한 스스로 보존되는, 세상에서 유일한 것이다.

- 들뢰즈 『철학이란 무엇인가』中


예술은 그 자체로 독립적이야 한다. 피카소가 그렸다고 해서 그 회화작품이 오롯이 피카소에게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예술은 자신을 탄생시킨 이를 살해한 후 마음껏 세상을 향해 활갯짓한다.

 

단, 예술은 유한한 세계에 머물러있는 이를 무한의 세계로 인도하는 긍정적 열할도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인간이란 자신이 사유할 수 밖에 없는 것들을 지층화 시키고 들러리화 시켜 그 여분을 덜어내는 존재이다.

 

슬픔에 젖어있는 나는 거리에 흘러나오는 발라드에 한껏 감정 이입을 한다. 그 상황에서의 중심은 음악이 아니라 내게 있다. 단순히 내재해 있던 감정이 음률을 타고 흐르는 것뿐, 음악이 나의 상황 전체를 바꾸지는 않는다. 음악이 작으면 내가 커져서 음악을 잡아먹는다.

 

하지만 전혀 익숙하지 않은 멜로디와 박자에 온몸과 마음을 빼앗기는 수도 있다. 그야말로 음악에 압도 되는 것이다.

그때의 나는 작다. 음악에 압도 된 나는 내 안에서 빠져 나와 음악을 향해 걸어간다. 그것이 예술이 가진 위대한 힘이다.

 

세잔느가 말했듯이, '흘러가는 세상의 한 순간' 일지라도 우리가 '그 순간 자체가 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것을 보존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세상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과 더불어 생성되고 있다.

- 들뢰즈 『철학이란 무엇인가』中

 

예술은 기념비(Monument)와 같은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기존에 우리가 알던 그 기념비는 아니다. 기존의 기념비가 단순히 비석 앞에 서서 과거를 회상하는 것이었다면 들뢰즈가 말한 기념비란 그것과 뒤섞여 창조적 생성작용을 하는 것을 이른다.

 

실패한 혁명은 결코 비석에 봉인되지 않는다. 혁명정신은 비석 앞 묵념하는 이에게 고스란히 전이된다. 예술작품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단순히 그것을 감상하는 것만이 아니라 작품과 함꼐 무한한 우주로 펼쳐질 수 있다.

 

들뢰즈와 세잔느 그리고 뽕띠

후기인상주의인 세잔느를 가운데 두고 들뢰즈와 뽕띠는 무한한 애정을 쏟아 붓는다. 그들의 예술론은 세잔느의 작품에서 비로소 구체적으로 발현된다. 인상주의자들이 순간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순간들을 사랑했다면, 세잔느는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는 운동의 포착이 아니라 좀 더 굳건하며, 견고하여 박물관에 걸릴 수 있는 영원한 작품을 만들고자 했다. 이는 뽕띠가 인상주의를 '대상 자체가 침몰하고 고유의 중량감을 잃게 된다.'라고 비판했던 것과 일맥상통한다.

 

미술은 모방이 아니며, 또한 본능이나 훌륭한 취미에 따라 만들어진 그 무엇도 아니다. 그것은 표현행위인데, 표현행위랑 혼미한 방식의 것들을 명확하게 우리 앞에 놓는 일이다,

- 뽕띠『세잔의 회의』中

 

세잔느에 의하면 위대한 풍경들은 모두 비전을 제시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 비전이란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보이게 하는 것으로서, 보이지 않는 풍경에 다다르려면 가능한 모든 시간적, 공간적, 객관적인 규정을 포기해야 한다. 대상물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마저도 포기했을 때, 객관적으로 규정된 세계와 우리들 자신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 들뢰즈 『천개의 고원』中

 

영화와 들뢰즈

엘리트주의를 기반으로 탈주, 탈영토를 외쳐대는 들뢰즈의 영화론은 어떨까? 난해하고, 알 수 없는 용어들의 남발일 것이 분명하다. 그의 저작『시네마』를 보면 도저히 10분 이상 궁둥이를 붙이고 앉아있을 만한 영화들이 없다. 당최 영화로부터 무얼 얻고자 하는 것인지…….

 

하지만 덮어놓고 들뢰즈를 난해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건 큰 오산이다. 그가 파격적인 영화들을 소개하고 난해한 이론들을 전개하지만 알면 알 수록 그리고 그의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그는 굉장히 긍정적이고 사랑 넘치는 사람이다.

 

내가 아주 특별히 존중하는 들뢰즈의 그 무엇이 있다면 세계를 향한 일종의 흔들림 없는 사랑과 비관주의와 낙관주의를 넘어선 어떤 사랑을 전개하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에 대한 비아냥거림과 투덜거림은 언제나 헛된 일이며 또 그것은 언제나 그 어떤 사유에도 이르지 못한다. 그래서 나는 들뢰즈를 굉장히 존중한다.

- 알랭 바디유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프루스트와 기호들』 질 들뢰즈, 서동욱 역, 민음사
『철학이란 무엇인가』 질 들뢰즈, 이정임 역, 현대미학사
『차이와 반복』 질 들뢰즈, 김상환 역, 민음사
『차이와 타자』 서동욱, 문학과 지성사
『니체 철학의 주사위』 질 들뢰즈, 조영복 역, 인간사랑
『세잔-색채로 들어낸 불변의 진실』 마리아 테레사 베네데티, 조재룡, 마로니에북스
『의식에 직접적으로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앙리 베르그손, 최화 역, 아카넷
『물질과 기억』 앙리 베르그송, 홍경실 역, 교보문고
『창조적 진화』 앙리 베르그송, 황수영 역, 아카넷
『시네마1,2』 질 들뢰즈, 유진상 역, 시각과언어
강좌보기
    • 1교시 예술의기호는존재론적사유로들어가게한다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세가지기호:사교계,사랑,예술의기호
    • 강좌보기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