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대상으로서의 몸
몸이란 무엇인가? 몸은 그저 나인가? 우리는 인체 도판을 가리켜 ‘내 몸’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인간의 몸은 훨씬 더 풍부하고 복합적이며 복잡하다. 철학의 대상으로서의 몸은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정의내릴 수 있는 몸이기보다, 나라는 주체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는 몸이자 경험하는 ‘나 자신’이면서 ‘나의 일부’인 몸을 의미한다. 하지만 동시에 몸은 생명체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물과 같은 물체들을 포함해 정치체나 국가와 같이 비물질적인 몸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강좌는 샹탈 자케의 『몸』을 읽어나가며 몸의 다의성, 몸 개념의 철학사적 변화 추이, 영혼과 몸 또는 정신과 몸의 관계 양상, 몸의 다양한 역량들을 살펴본다. 자케의 책이 그렇듯이 이 강좌는 몸에 관한 간명한 정의를 내리기보다 오히려 심대한 논의들을 하나하나 펼쳐놓음으로써 몸에 대해 질문하고 생각해보기를 권유한다 .
물체들과 몸, 정신과 몸
이 강좌의 전반부(1-4강)에서는 철학사에서의 몸 개념의 양상을 살핀다. 인간의 몸만을 독자적으로 사유하기 이전, 모든 물체들을 사유하는 방식에서 ‘몸’ 개념이 출현했고 고대 철학에서 물체와 몸의 개념 구분이 일어나기 시작한다(1강). 물체에서 몸으로 사유가 이행하는 과정에서 몸과 물체들의 단순한 집합은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지(2강), 살아 있는 몸이란 무엇이며 기계 몸은 어떻게 구분되는지(3강)를 영적인 몸(에리우게나), 정치체(홉스와 루소), 물활론(아리스토텔레스), 유기체와 기계(칸트) 등의 논의를 통해 살핀다. 이어 몸과 정신의 관계를 다룬 근대 철학자들의 이원론적 관점(데카르트), 예정조화(라이프니츠), 유물론적 일원론(라메트리), 기회원인론과 예정조화이론 비판(스피노자)을 각각 알아본다(4강). 이렇듯 몸 개념과 이론의 전개를 찬찬히 읽어나가는 작업은 몸에 대한 사유의 역사적 흐름을 개괄적으로 가늠할 수 있게 돕는다.
몸의 무궁무진한 역량들
인간의 몸은 가능성으로서의 힘을 갖고 있다. 이 역량들을 살펴보기 위해 강의의 후반부(5-8강)에서는 실천적인 몸에 대해 기술, 예술, 윤리, 성차와 관련지은 논의를 읽어나간다. 몸과 기술의 관계는 몸이 결코 ‘자연적이지 않다’는 사실뿐 아니라 기술들이 인간 자체의 본성을 변화시킬 수도 있음을 알려준다(5강). 정신과 몸의 일치와 화해를 나타내는 예술의 경우, 그 역량을 건축과 무용에 특히 집중해 알아본다(6강). 주로 정신의 영역이라고 생각되어온 도덕과 윤리에서 몸이 차지하는 위상을 살펴보고, 오히려 정신에서 유래하는 악을 막을 수 있는 윤리적 역량으로서의 몸에 대해 탐구해본다(7강). 성적 욕망과 성차의 문제를 다루며 성적 차이에 대해 사유하기 위한 조건들을 검토하고 타자성이 다르게 경험되는 방식을 배운다(8강). 이렇듯 몸을 둘러싼 다각도의 접근 방식이 몸 전반에 관한 풍성한 이야기들을 풀어놓는다.
정지은(홍익대 교양과 조교수)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공부했다. 이후 프랑스 부르고뉴대학교에서 「레비 스트로스의 신화적 사유와 미학적 사유」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메를로 뽕띠 철학에서의 살의 존재와 표현」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철학 아카데미, 한국외국어 대학교, 명지대학교, 홍익대학교 한서대학교 및 다수의 교육기관에서 강의해 왔다.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