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눈(eye) 이야기들 - 시각의 문화와 철학

강좌정보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의 ‘눈’은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가? ‘바라봄’을 결정짓는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상품 스펙터클이 지배하는 이미지의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라캉, 메를로-퐁티에서 푸코, 들뢰즈까지! ‘눈’과 ‘바라봄’을 주제로 펼쳐지는 철학의 대향연!

인문학, 눈을 말하다.

현대 인문학 사유들을 접하면서 심심치 않게 마주치는 것 중의 하나는 시각(눈)에 관한 담론이다. 메를로-퐁티(시지각), 사르트르(시선 간의 투쟁), 라캉(거울과 이미지), 바타유(눈 이야기), 푸코(판옵티콘), 바르트(카메라 루시다) 등등. 현대 인문학의 거장들이 모두 눈 혹은 봄(seeing)/보임(seen),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관해서 한마디씩은 한 셈이다. 어떤 의미에서 서구의 사유는 유대-기독교 전통의 음성중심주의에서, 근대에 이르러 투명성과 이성을 담보한 시각중심주의(르네상스 회화의 원근법, 광학에 대한 집착)로 옮겨왔고, 현대에 들어와 앞서의 거장들이 시각중심주의에 대해 나름의 방식으로 문제제기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당대의 지적 유행이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진리, 빛 그리고 눈이 맺고 있는 관계를 고려해볼 때 인문학이 눈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시각의 현상학

여기 소개하는 사상가들의 이야기는 1930년대 이후 서구 지성사를 뜨겁게 달구었던 현상학에 관한 영향에서 비롯한다. 라캉, 메를로-퐁티, 바타유 등이 코제브의 헤겔의 정신현상학 관련 세미나에 참석했고, 사르트르는 하이데거를 직접 비판적으로 계승했으며, 푸코, 들뢰즈, 데리다도 현상학 비판에서 자신들의 철학작업을 시작했다. 바르트의 경우는 구조주의에서 말기에는 현상학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딱히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8번의 이야기들은 모두 일정 정도 현상학, 정신분석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라캉은 시각충동의 대상으로서의 응시와 욕망을 추동하는 것이 회화의 본질이라는 이야기를. 메를로-퐁티는 뒤섞임과 애매함을 회화적으로 표현 한 세잔의 그림을, 바르트는 어머니의 어릴적 사진을 보면서 애도하는 중에 사진의 본질과 죽음[충동]에 관한 성찰을, 사르트르는 시선 간의 투쟁과 나를 무화시키면서도 동시에 나의 존재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자로서의 타자에 관한 이야기를, 들뢰즈는 베이컨의 회화를 통해 구상(재현)이 아닌 형상, 생성(운동)과 기관 없는 신체를, 푸코는 3명의 화가의 그림을 통해 각 시대의 에피스테메를 조명하고, 바타유는 시적인 글쓰기를 통해 에로티즘, 악과 순수함, 신성함을 역설한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 자크 라캉, 『세미나1, 11』, 새물결(2016)
-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2003)
- 미셸 푸코, 『마네의 회화』, 그린비(2016)
- 미셸 푸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고려대학교 출판부(2010)
- 조르주 바타유, 『저주의 몫』, 문학동네(2000
-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즘』, 민음사(2009)
- 조르주 바타유, 『눈 이야기』, 비채(2016)
- 롤랑 바르트, 『카메라 루시다』, 동문선(2006)
-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2002)
- 메를로-퐁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2004)
- 슬라보예 지젝,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 언어(1995)
- 질 들뢰즈, 『감각의 논리』, 민음사(2008)
- 장 폴 사르트르, 『존재와 무』, 동서문화사(2009)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시각의 우월성, 시각중심주의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원근법. 근대 주체 비판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거울단계, 상상적인 것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시각충동, 왜상. 회화란 무엇인가?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