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문화예술문화한국근대미술작품론

강좌정보
서양식 양식사 관점에 의해 소외되었던 옛 그림에 다가가 선조들의 정신세계와 생활철학을 음미해 볼 수 있는 강좌이다. 선조들의 미술 작품을 통해 한국인의 마음 저변에 깔려 있는 민족 정서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정선의 <동리채국도>와 <유연견남산도>를 아시나요?
안견(安堅)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아시나요?

이를 모르고 어찌 '그림을 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요? 모름지기 화풍은 유럽에서 배워야 한다고요? 이는 모르는 소리. 서양의 그림들이 자연을 묘사하는데 그쳤다면, 우리 옛 화가들은 자연계의 '그것'을 모사한 것이 아니라, '그것'과 연관된 '마음'을 그렸다고 허균 선생은 강조합니다. 그 깊이에 대한 차이의 중요성을 언급한 것이겠지요.

 

​​​​​​

​안견, <몽유도원도>


옛 그림, 고리타분하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 미술을 서양의 것에 비해 경외시하는 경향이 있어 보입니다. 돌아보면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 유명 화가의 작품을 열거할 수 있을지 몰라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우리 작품을 상식으로 떠올리기란 쉬운 일은 아닌 듯 합니다. 그러기에 지금까지 서양식 양식사(樣式史)의 관점에 의해 소외되었던 옛 그림에 가깝게 다가가 그 속에 숨은 선조들의 정신세계와 생활철학을 음미해 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라 여겨집니다.

 


40여 점에 이르는 작품의 향연으로... 정선의 <금강전도>


금강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객관적으로 묘사한 사실화(寫實畵)가 아니라, 금강산이 지니고 있는 종교적 의미나 신비감을 나름대로 소화한 상징성 짙은 그림이다. 겸재를 비롯한 당시의 많은 화가들이 금강산 그림을 그리고 또 그것을 감상하기를 즐겨했던 것은 미술 의식이라기보다 금강산이 지니고 있는 민족적·종교적 상징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야 옳을 것이다. - 허균의 7강 강의 노트 중


허균 선생의 이 강의는 일반인들에게 비교적 많이 알려진 옛 그림 40여 편의 내용과 상징적 의미, 그리고 그림에 얽힌 일화 등도 함께 살펴봅니다. 허균 선생은 "이 강의에서 다룬 작품들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다른 유사한 작품들도 이해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 옛 그림을 보는 안목을 기르는 길에 허균 선생이 함께 합니다.
모든 일에는 계기가 있고, 그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아트앤스터디는 이 강좌가 우리 옛 문화에 대한 관심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하기를 기대합니다. 온라인 강의실로 부족하다면 고궁이나 사찰 등 옥외의 문화 유적을 찾아다니는 것도 좋은 학습이라고 생각됩니다.

옛 그림을 공감한다는 것은 결국 선조들이 지향하던 정신세계를 이해하는 길이 되며, 또한 그것은 한국인의 마음 저변에 깔려 있는 민족 정서를 재발견해 내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허균 선생의 강의를 통해 직접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 허균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교보문고, 1991
◈ 허균 『우리의 옛 그림』 대한교과서, 1997
강좌보기
맛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