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미학이다
공안과 화두를 통해 지금, 여기의 불교 철학을 찾으려 한 <선불교를 철학하다>의 이진경 교수가 이번엔 불교 미학을 들고 왔다. 마찬가지로 법보 신문에 연재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한 이번 강의는 불교 미학이란 가능한 것인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물으며 불교 미학을 통해 미학 자체의 새로운 전회를 촉발해 보려 한다.
불교 미학은 가능한가
불교 미학은 중국 미술이라는 한계에 갇히거나 서구적인 미학 개념의 틀에 사로잡혀 있는 게 아닐까. 특히 서구적 미학 개념은 비례, 초월성, 사실성, 숭고 같은 개념을 통해 초월자를 전제로 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그렇지만 모든 것을 연기라는 조건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으로 보는 불교의 정신은 초월적인 내면성이 아니라 내재적인 외부성의 미학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단지 불교의 철학 개념을 미적 대상에 적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런 내재적 미학이 어떤 미감과 형식으로 표현되는지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내재성의 미학 세계
이진경 교수의 강의는 그동안 ‘상식’처럼 알려져 있던 불교 예술의 이해가 어떤 오류와 허구에 사로잡혀 있는지 드러낸다. 이진경 교수가 모색하는 것은 불교 철학의 관점과 일치하며 실제의 건축이나 조각, 회화를 설명할 수 있는 내재적 미학의 개념들이다. 특히 미추의 분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선의 세계에서 미와 추를 가르는 미학의 원리가 모순 없이 어떻게 성립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은 너무나 명쾌하며, 이 강의를 통해 우리는 모든 곳에 존재하는 미학적 여래를 만나게 된다.
이진경(사회학자,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서구의 근대적 주거공간에 관한 공간사회학적 연구: 근대적 주체의 생산과 관련하여」라는 논문으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랫동안 공부하는 이들의 ‘코뮨’인 연구공간 <수유+너머>에서 자본주의 외부의 삶과 사유를 시도하며, 근대성에 대한 비판 연구를 계속해 온 활동적인 사회학자이다. 87년 발표한 『사회구성체론과 사회과학방법론』로 명성을 얻은 후, ‘이진경’이라는 필명으로 ‘탈근대성’과 ‘코뮨주의’에 관한 다수의 저서를 출간하였다. 또한 박태호라는 이름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로 강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