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김교빈:한국 지성과의 산책 Ⅰ: 화담 서경덕에서 하곡 정제두까지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동양철학한국 지성과의 산책 Ⅰ: 화담 서경덕에서 하곡 정제두까지

강좌정보
서양철학, 중국철학은 알아도 한국철학은 처음이라는 당신께 선사하는 특별한 철학 강의! 서구문명의 범람으로 인해 소외되고 망각된 한국철학의 전통을 재조명하다! 유학사의 주류와 인디, 성리학과 양명학이 한국의 맥락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변형되었는가? 이 땅의 현실과 분투한 한국 철학 거장들의 치열한 사유를 만나다!

한국에도 철학이란 게 있는가?

 한국에도 철학이란 게 있습니까?”

서양철학, 인도철학이란 말은 들어봤어도 한국철학이라는 말은 처음입니다.”

 많은 이들이 한국철학이라는 말을 낯설어 한다. 한국철학! 과연 우리에게 고유의 철학이 있는 것일까? 어느 민족이나 민족의 존립 근거는 주체성이다. 그리고 민족의 주체성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는 철학이다. 민족의 고유 철학은 그 민족의 보편적 사유체계를 반영하며, 그 안에는 민족 나름의 인간관, 자연관, 사회관이 포함된다. 그렇기 때문에 고유한 사유체계를 지니지 못한 민족은 스스로의 존립 근거를 잃은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질문해 보자. 우리에게 과연, 철학이란 게 있는가?

 

한국철학이 오랜 변경으로 전락한 이유는 첫째, 서구 근대 문명의 쇄도로 인해 그 영역이 급격히 위축되었기 때문이요, 둘째, 한국의 전통문화는 중국의 유··도 사상을 흡수한 것이기에 고유의 사상으로 볼 수 없다는 일본 식민학자들의 폄훼 때문이다. 근래, 이 같은 왜곡과 오류를 바로 잡고 한국철학의 정체성을 바로잡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한국철학이란 어떤 것인가?

민족의 고유한 사고체계는 자신들이 몸담고 살아 온 환경과 경험 속에서 보편적 공감대의 형성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모습을 보일 때 이것이 한국철학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

첫째, 한국적 특징을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외부에서 수용된 사상이라 해도 그 민족 나름의 맥락에서 소화하고 재해석한 것이어야 한다.

둘째, 구체적인 한국인의 삶에 기초해야 한다. 아무리 뛰어난 사상이 지식인들 가운데 널리 퍼져 있다고 해도, 그것이 이 땅의 삶과 관계가 없는 한 그것은 한국의 사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셋째, 민족의 삶에 발전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현실의 삶과 괴리된 철학은 우리 삶을 개선시키기 보다는 가로막는 역기능으로 작용하기 쉽다.

그러므로 주체적 입장에서 수용되어 민족의 삶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때, 비로소 그것을 한국철학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좌에서는 오랜 시간 외면 받아온, 우리의 풍성한 철학적 자산을 새로이 조명해 보려 한다. 비판적 태도와 열린 마음으로 한국철학을 고찰함으로써 과거의 전통을 오늘의 것으로 되살려 보려 한다.

 

유학의 수용과 한국적 변용: 성리학과 양명학

조선기 전체를 통틀어 이 땅의 주류적 사상이었던 유학(儒學). 그렇다면 유학은 어떻게 받아들여졌으며, 어떤 모습으로 변용되었는가? 본 강좌에서는 유학의 전래와 변천과정에 주목한다. 나아가 중국유학을 한국철학으로 변모 · 발전시킨 거장들을 만나본다. 이들의 삶과 사유가 펼쳐진 현실은 어떠했는가? 이들은 무엇을 고민해 왔으며, 어떤 미래를 꿈꾸었는가? 이로써 조선의 유학 담론은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가?

한국 기철학의 선구자 화담 서경덕, 주희의 격물치지론에 도전한 회재 이언적, () 중심의 철학으로 일본유학의 원조가 된 퇴계 이황, 현실과의 치열한 분투 속에서 인간의 실천을 강조한 개혁가 율곡 이이, 한국 양명학의 대부 하곡 정제두.

본 강좌에서는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5인의 사상가를 통해 한국철학의 생생한 흐름을 조명해 보려 한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우리의 전통 문화와 사상을 알고 싶은 분.

- 조선의 지식인들이 성리학과 양명학을 어떻게 발전시켰는지 알고 싶은 분.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 김교빈,『한국철학 에세이』, (동녘, 2003)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문화의 세기와 우리 문화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동서양 사유체계와 문화의 차이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한국 문화와 사상의 특징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한국 문화와 사상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