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김진영:꿈꾸는 우울 : W. 벤야민을 이해하기 위하여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꿈꾸는 우울 : W. 벤야민을 이해하기 위하여

■ 강의개요

발터 벤야민(1892~1940), 그는 스페인 국경에서 모르핀을 먹고 자살했다. 유대인 부호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평생 비정규직 지식인으로 살았고, 우울증으로 수차례 자살을 시도했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단순한 비극이 아니다. 벤야민의 지적 태도 자체가 자살의 태도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대상을 나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내가 그것을 위해 대상화된다." 주체가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 속으로 투신하는 것. 이것이 벤야민의 사유 방식이다. 역사학자가 역사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역사에 자신을 주어버리는 것. 텍스트를 읽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속으로 들어가는 것.

본 강의는 벤야민 입문 과정으로, 그의 역사철학, 언어철학, 문예이론, 아우라론, 도시론까지 사유 세계 전반을 횡단한다. 21강에 걸쳐 역사, 철학, 문학, 예술, 사진, 영화에 이르는 벤야민의 지적 모험을 따라가며, 그 어지러운 궤적 속에서 사유의 지도를 그려본다.

■ 강의특징

이 강의의 가장 큰 특징은 벤야민 사유의 핵심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짚어간다는 점이다. 난해하기로 유명한 벤야민의 텍스트들이 김진영 교수의 명쾌한 해설을 통해 의미를 드러낸다.

먼저 벤야민의 독특한 지적 태도를 이해한다. '문지방 영역'이라는 개념이 대표적이다. 유년 시절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을 때, 선물 자체가 아니라 양말 속으로 손을 넣는 그 짧은 순간의 황홀함. 이것도 저것도 아니지만 이것이기도 하고 저것이기도 한 제3의 영역. 19세기 파리의 파사주(passage, 통로)가 바로 이 공간적 은유다. 벤야민 사유 전체가 이 문지방 위에서 진행된다.

역사철학은 강의의 중심축을 이룬다. 벤야민의 역사관은 미래가 아닌 과거를 향한다. "과거는 그것을 구원으로 지시하는 은밀한 지침을 지니고 있다." 우리를 스치는 바람은 예전 사람들을 스치던 바람이고, 우리가 듣는 목소리엔 침묵한 목소리의 메아리가 있다. 역사적 유물론자는 위험의 순간에 예기치 않게 나타나는 과거의 이미지를 붙드는 자다.

언어철학도 깊이 다룬다. 벤야민의 알레고리적 독법, 미메시스 개념이 상세히 해명된다. "쓰이지 않은 것을 읽는 것이 독서"라는 그의 말처럼, 텍스트 너머의 것을 읽는 방법을 배운다. 아담의 언어에서 바벨탑 사건을 거쳐 타락한 현대 언어에 이르는 언어사가 펼쳐진다.

문예이론 부분에서는 프루스트, 카프카를 벤야민의 시선으로 읽는다. 이야기에서 소설로의 타락, 무의지적 기억, 카프카 소설의 현대적 영웅들이 논의된다.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론과 연결하며 입체적으로 이해한다.

아우라론은 벤야민을 이해하는 결정적 열쇠다. "먼 것의 일회적 현상"으로 정의되는 아우라가 사진과 영화라는 기술 복제 시대에 어떻게 붕괴하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한다. 옥타비우스 힐, 으젠 앗제, 아우구스트 잔더 등 구체적 사진 작품들을 통해 논의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도시론이 전개된다. 19세기 파리라는 메트로폴리스, 파사주, 군중, 상품의 세계. 보들레르와 함께 근대 대도시를 읽는 벤야민의 시선이 생생하게 재현된다. 변증법적 이미지, 길 잃기, 어른과 어린이 시선의 변증법 등 독특한 개념들이 등장한다.

21강이라는 방대한 분량이지만, 각 강이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역사철학에서 시작해 언어철학, 문예이론, 매체론, 도시론으로 이어지는 여정이 하나의 큰 그림을 완성한다.

■ 추천대상

벤야민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최적의 입문 강좌다. 『아케이드 프로젝트』나 『일방통행로』 같은 텍스트는 혼자 읽기 어렵다. 김진영 교수의 안내로 벤야민 사유의 전체 지형을 파악한 후 개별 텍스트로 들어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대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고 싶은 이들에게 권한다. 아우라론은 현대 매체 환경을 사유하는 핵심 도구다. 사진, 영화, 나아가 디지털 이미지 시대를 이해하려면 벤야민을 거쳐야 한다.

역사와 정치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도 유익하다. 벤야민의 역사철학은 단순한 과거 연구가 아니라 현재의 혁명적 실천을 위한 이론이다. 파시즘에 저항했던 그의 사유는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문학과 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싶은 이들에게 적합하다. 벤야민은 경계를 넘나든다. 철학자이면서 문학비평가, 역사학자이면서 문화이론가. 학제적 사유의 모범을 보여준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나 비판이론에 관심 있다면 필수다. 아도르노와의 관계, 브레히트와의 교류, 마르크스주의와 메시아니즘의 결합 등 20세기 사상사의 중요한 흐름이 벤야민을 통해 보인다.

■ 수강팁

21강이라는 긴 여정이므로 천천히 듣길 권한다. 한 강이 평균 70분 정도로 상당히 길다. 하루에 여러 강을 몰아듣기보다, 한 강씩 충분히 소화하며 진행하는 것이 좋다.

강의 순서가 중요하다. 1~7강의 역사철학 부분이 토대가 된다. 벤야민의 시간관, 과거 중심의 역사 개념, 메시아니즘을 이해해야 이후 내용이 명확해진다. 처음부터 순서대로 듣길 바란다.

벤야민의 주요 텍스트를 함께 읽으면 좋다. 『역사철학테제』,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등은 비교적 짧고 중요하다. 강의에서 다루는 부분을 직접 읽어보면 이해가 깊어진다.

개념 노트를 만들길 권한다. 아우라, 알레고리, 미메시스, 파사주, 변증법적 이미지 등 벤야민 특유의 용어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정리하며 듣다 보면 개념들이 서로 연결되며 전체 구조가 보인다.

관련 이미지를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19세기 파리의 파사주 사진, 으젠 앗제의 작품, 아우구스트 잔더의 초상 사진 등을 보면 벤야민의 논의가 구체적으로 다가온다.

■ 마치며

벤야민은 말했다. "쓰이지 않은 것을 읽는 것이 독서"라고. 그의 사유 역시 쓰이지 않은 것, 보이지 않는 것, 망각된 것을 향한다. 과거의 은밀한 약속, 침묵한 목소리의 메아리, 파편 속에 숨은 진실.

그는 난쟁이 꼽추가 되어가는 자신을 보며, 돌아보지 못한 프롤레타리아의 시선을 의식했다. 부르주아로 살면서도 부르주아를 비판하는 모순 속에서, 그는 대상 속으로 투신하는 지적 자살을 선택했다.

태고와 현대, 신화와 유토피아, 매혹과 전율, 꿈과 우울 사이를 오간 그의 여정. 21강에 걸친 이 강의는 그 지도 없는 여행의 궤적을 더듬어 간다. 벤야민과 함께 꿈꾸는 우울 속으로, 파편적이지만 예리한 사유의 세계로 들어가 보길 권한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민음사
『현대 사회와 예술』문학과 지성사
『문예비평과 이론』문예출판사
『베를린의 유년시절』솔출판사
『발터 벤야민의 모스크바 일기』그린비
『아케이드 프로젝트 1,2』새물결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학문을대하는벤야민식지적태도와그특성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벤야민의생애와사유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벤야민의생애와지적태도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