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황산: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 관통하기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 관통하기

■ 강의개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은 현대 철학의 가장 도전적인 텍스트 중 하나다. 리좀, 지층, 배치, 탈주, 되기, 유목, 포획, 감응이라는 여덟 가지 핵심 개념을 통해 이 난해한 저작을 체계적으로 읽어낸다. 


고원, 탈영토화, 탈지층화, 도주선 같은 생경한 용어들이 처음엔 낯설지만, 이는 들뢰즈가 의도한 철학적 전략이다. 새로운 개념의 창안을 통해 기존 사유의 틀을 벗어나고자 한 것이다. 본 강좌는 이러한 개념들의 맥락을 파악하며 『천 개의 고원』 전체를 관통하는 감각을 기른다.


■ 강의특징


이 강의의 핵심은 난해한 이론을 일상으로 끌어내는 데 있다. 들뢰즈가 말하는 탈주와 유목은 짐 싸들고 떠나는 낭만적 방랑이 아니다. 지금 내가 서 있는 이 자리, 나의 직장과 가정, 공부하는 책상에서 새로운 배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나'를 규정하지 않는다는 것, 미래를 단정 짓지 않는다는 것이 유목주의의 출발점이다. 우리는 잠재성의 형태로 존재하며, 아직 발견하지 못한 자신과 만날 수 있다. 이질적인 것들과의 접속을 통해 '되기'를 실행하고, 여기 이 영토를 변주하고 재구성하는 것이 혁명의 시작이다.


강의는 카프카의 문학, 채플린의 웃음, 협동조합과 마을공동체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추상적 개념을 현실과 연결한다.


■ 추천대상


들뢰즈 철학에 관심 있지만 『천 개의 고원』의 난해함에 좌절했던 이들에게 적합하다. 철학 전공자가 아니어도 현대 사상의 흐름을 이해하고 싶은 인문학 애호가라면 충분히 따라갈 수 있다.


자신의 삶에 새로운 시각을 도입하고 싶은 이들, 조직과 관계 속에서 다른 방식의 존재를 모색하는 이들에게 권한다. 예술, 문학, 사회운동에 관심 있는 이들도 들뢰즈의 사유가 실천적 영감을 줄 것이다.


■ 수강팁


『천 개의 고원』 원전을 미리 읽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강의를 들으며 해당 부분을 찾아 읽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 번에 이해하려 하지 말고, 낯선 개념들과 천천히 친해지는 시간을 가져라.


각 강마다 다루는 키워드를 자신의 삶과 연결해 생각해보길 권한다. 리좀적 사유, 배치, 탈주가 내 일상에서 어떻게 작동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것이다. 강의 중 언급되는 개념들을 노트에 정리하며,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지도를 그려보는 것도 좋다.


■ 수강후기에서


수강생들은 "추상적이던 개념들이 삶의 문제와 만나는 지점을 발견했다"고 말한다. 특히 "규정하지 말라"는 명제가 자신을 옭아매던 정체성의 틀을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반응이 많다.


한편 "여전히 어렵지만, 이 어려움 자체가 새로운 사유로 나아가는 과정임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평가도 있다. 들뢰즈 철학의 본질이 완결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끊임없는 생성에 있음을 체감한 것이다.


■ 마치며


들뢰즈와 가타리가 긍정하는 것은 내재적 힘의 자유로운 흐름이다. 새로운 관계를 환영하고,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열려 있는 것, 그것이 탈주의 윤리다.


이 강의가 단지 난해한 텍스트를 정복하는 데 그치지 않길 바란다. 여러분이라는 새로운 존재의 고원이 아름답게 형성되고 펼쳐지길, 유목적 삶이 바로 이 자리에서 시작되길 기대한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천 개의 고원』​(김재인 역, 새물결, 2001)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리좀식 사유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리좀은 연결이다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리좀의 원리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장군을 제거하라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