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김시천:나와 공동체를 치유하는 동양철학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동양철학나와 공동체를 치유하는 동양철학

강좌정보
제자백가 사상이 고리타분하고 어렵다고? 그렇지 않다. 장자는 ‘친구’가 되라 하고, 묵자는 노동자의 입장에서 평등을 강조하고, 공자의 애제자 안회는 출세를 하지 않아도 새로운 삶이 있음을 보여준다. 고전은 늙지 않는다! 우리가 알 수 있는 용어들로 질문도 던지고 해답도 해주며, 여전히 우리와 함께 호흡하고 있는 동양철학을 만나보자.

고전을 우리 시대의 지혜로


고전은 단순히 지혜를 가르쳐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고전의 가치는 우리가 배우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를 우리 시대에 맞게 사유해보고 질문을 던지며 새로이 만들어나가는 데 있다. 우리는 동양의 고전들을 읽으며 어떻게 우리 시대의 지혜들로 재구축할 수 있을까? 동양의 마스터 5(공자와 그 제자들, 장자, 노자, 묵자, 한비자)들의 사상들을 통해 그 길을 탐구해보자.

 

자기계발서가 아니라, 고전을 읽는 이유


우리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야기에 공감한다. 자기계발서가 인기를 끄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기계발서는 우리네 일상과 습관, 감정 등을 담았다. 한편 우리는 논어나 플라톤의 국가가 고전이며 좋은 책임을 너무도 잘 알지만, 그것들이 우리의 삶에 쉽게 와 닿는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본 강의는 이렇듯 고전에 관한 우리의 지식과 삶에 대한 언행불일치의 모순을 타파하려 한다. 고전은 끊임없이 우리 시대로 소환될 수 있고, 우리를 둘러싼 일상과 사회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노자를 읽으며 자본주의 시대의 욕망과 만족의 문제를, 장자 통해 국가 앞에서 현대인들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문제를 곱씹을 수 있다.


다시 알고, 다른 시각으로도 보자


가령, ‘무위자연(無爲自然)은 속세를 훌훌 벗어버리고 자연으로 떠나 자연과 어울려 사는 삶을 영위하는 뜻만 가진 것이 아니며, 노자에서만 사용된 말도 아니다. 노자에서 무위는 군주에게 해당되는 통치술’(the Art of Rulership)을 의미한다. 또한 논어의 대화들을 공자의 중심에 두고 보기보다 제자들의 중심에 두고 읽다 보면, 그들 간의 관계가, 생각의 차이가, 그들이 당시에 했던 고민이 더욱 잘 보인다.

이렇듯 본 강의를 통해 우리는 제자백가 시대의 사상들에 대해 어렴풋이 알던 용어들과 의미들을 풍부한 텍스트들과 함께 다시 배울 수 있고, 더 풍부하고 재밌게 읽어나갈 수 있는 실마리를 얻는다.

 

고전을 배움으로써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철학 텍스트에 나오는 의미와 가치들은 텍스트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서 발견하고 실현되기도 한다. 우리는 최근 더 나은 사회를 위한 희망의 몸짓들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를 장자 식으로 표현하자면 강호(江湖)’를 바꾸는 힘을 목격한 것과 같다. 한 사회가 어떤 가치와 인물들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의 문제에는 당대의 시대정신이 담겨 있다. 고전들도 사상가들이 자신의 시대에 대해 고민하고 답변한 기록의 흔적들이다. 우리는 현재를 관통하며 무엇을 고민하고 이야기하고 싶은가?

인문학적 사유는 책과 고전 속의 활자들을 읽고 이해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시대와 삶에 대한 통찰과 어우러질 때 더욱 빛을 발한다. 김시천의 강의를 통해 현인들로부터 배운 지혜에 우리 시대를 비추어 보자. 그러면 고전의 거울 속에서 현대인이 고민하는 삶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게 될 것이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 『장자』(「대종사」, 「소요유」, 「양생주」, 「덕충부」, 「천운」, 「양왕」)
- 『논어』(「위령공」, 「이인」, 「학이」, 「안연」. 「옹야」, 「위정」, 「공야장」, 「양화」, 「선진」)
- 『사기』(「공자세가」, 「명상군열전」)
- 『피로사회』(한병철, 김태환 역, 문학과지성사, 2012)
- 『가능성들: 위계, 반란, 욕망에 관한 에세이』(데이비드 그레이버, 조원광 외 공역, 그린비, 2016)
- 『노자 도덕경』(「12장」, 「46장」, 「57장」, 「63장」)
- 『조선경국전』(정도전)
- 『맹자』(「진심상」)
- 『예수와 묵자』(문익환, 기세춘, 홍근수, 바이북스 2016)
- 『묵자: 공자를 딛고 일어선 천민 사상가』(임건순, 시대의창, 2015)
- 『중국고대사상사론』(리 쩌하우, 정병석 역, 한길사, 2005)
- 『한비자』(「세난」, 「간겁시신」, 「주도」, 「외저설 우상」
- 『논어, 학자들의 수다: 사람을 읽다』(김시천, 더퀘스트, 2016)
강좌보기
맛보기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