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정신분석·심리학라캉 세미나 7의 강해 : 라캉의 인간학

강좌정보
우리가 무언가를 생각하고 타인을 대할 때조차, 도덕규범에 짓눌린 무의식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가? 라캉은 우리를 억압하는 도덕규범과 초자아의 환상들에서 벗어나, 새로운 윤리를 주체적으로 세우라고 역설한다. 이것이 곧 라캉의 인간학! 무의식의 윤리적 문제에서 새로운 미학의 관점까지 나아가는 라캉의 인간학을 만나보자.


반복되는 나의 고통은 어디서 오는가?


우리는 과연 우리가 원하는 것을 원하는가라캉에 의하면 우리가 태어나 처음 가졌던 욕망은 다양한 언어의 형태로 억압되고사회적으로 욕망할 수 있는 다른 것들로 대체되어 간다무의식은 사회가 허용하는 방식즉 윤리적인 방식으로 다시 구성되는 것이다그러나 억눌린 욕망은 반복해서 다시 돌아온다그것도 고통의 형태로우리는 특정 사건을 마주할 때 스스로 이해할 수 없는 낯선 감정과 고통을 느끼며때로는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으로 이에 맞서려 하지만 고통은 이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정상과 비정상의 윤리적 문제


그렇다면 나 자신에게 사회에서 말하는 정상적인’ 생각과 행동을 주입하면 내 삶이 다시 나아질까라캉은 세미나 7에서 오히려 이런 생각을 가장 경계하며 강력하게 비판한다고통은 사라질 수 없는 욕망을 외면하고타자가 강요한 틀에 나를 억지로 맞추는 데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모든 것들은 현재 권력을 쥐고 있는 다수의 평균적 경향일 뿐이며이것에 맞게 누군가를 주조하는 것은 폭력에 불과하다여기서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는 윤리적인 차원에서 다시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된다라캉의 세미나 7은 우리가 지금까지 당연하다고 믿어왔던 모든 인식의 체계에 균열을 일으키며우리가 방황을 시작하도록 한다.


 

몰락의 윤리학과 예술적 승화


그리하여 우리가 고통에서 벗어나는 첫 번째 단계는 정상적이라고 여겨왔던 당연한 것들에 의문을 던지는 것이다나는 정상인가비정상인가누가언제부터어떻게 이러한 기준을 내 내면에 만들어왔는가이것은 역설적이게도 지금까지의 를 무너뜨리는 일과 다름없다그러나 산산이 부서진 자기 자신 위에서야 우리는 새로운 자기 자신을 세울 수 있다자신이 사로잡힌 도덕규범과 초자아의 환상들을 넘어서서 진정한 윤리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반복되는 고통을 내 손으로 멈추고새로운 삶을 만들어가는 예술가가 되는 것이 라캉이 우리에게 외치는 인간학이다이 지점에서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예술과 만나게 된다예술가들은 기존의 아름다움을 거부하고새로운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창조해내기 때문이다라캉이 임상분석을 은유하기 위해 예술의 절차들과 목표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예술 비평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백상현, 『라깡의 인간학』 (위고, 2017)
강좌보기
맛보기
    • 1교시 장치화된 위반의 윤리학
    • 강좌보기
      다운로드
    • 2교시 무의식의 윤리적 구조
    • 강좌보기
      다운로드
    • 3교시 주이상스에 대한 새로운 해석
    • 강좌보기
      다운로드
    • 4교시 라캉의 이론이 일으킨 반향
    • 강좌보기
      다운로드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