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이정우:철학사 입문코스 Ⅰ : 철학의 탄생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철학입문철학사 입문코스 Ⅰ : 철학의 탄생

강좌정보
존재란 무엇인가? 변화와 영원함은 어떻게 공존하는가? 동양의 기(氣)와 서양의 퓌지스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고대 철학자들의 근본 물음들이 오늘날 우리의 삶과 과학에 어떤 통찰을 제공하는지 발견하는 지적 모험에 함께해 본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 강의를 기다려왔다!


오랜 세월 동안 인류는 존재의 본질과 세계의 원리를 탐구해왔다. 그 깊고 넓은 철학적 사유의 바다를 함께 항해할 시간. <철학의 세계: 동서고전철학의 핵심을 탐구하다>는 그리스, 중국, 인도에서 시작된 철학의 원형을 찾아 떠나는 지적 탐험의 여정이다.

<철학이란 무엇인가>가 철학의 기초 개념을 위주로 철학적 사유의 맛을 느끼게 해주었다면, <철학사 입문코스 I : 철학의 탄생>은 제목 그대로 철학사의 출발부터 지금의 철학에까지 순서대로 내려오면서 동서양 철학사에 대한 전체적인 안목을 심어준다.



왜 지금 철학의 근원을 탐구해야 하는가?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은 결국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에서 출발한다. 이 강의는 단순한 사상사 나열이 아닌, 인류가 던져온 가장 본질적인 질문들과 그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존재란 무엇인가? 변화와 불변은 어떻게 공존하는가?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런 물음들이 어떻게 탄생했고, 어떤 맥락에서 발전했는지 그 뿌리를 탐색한다.

동서양 철학을 하나의 지평에서 바라보다

이 강의는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을 별개의 영역으로 나누지 않고, 인류의 보편적 사유 여정으로 통합적으로 조망한다. 그리스의 퓌지스(자연)와 중국의 역(易), 파르메니데스의 '있음'과 동양의 기(氣),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와 공자의 '인(仁)' 사이의 대화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서 발전한 사유 체계가 어떻게 인류의 공통된 물음에 답하고 있는지 발견하는 흥미진진한 여정이 될 것이다.

철학적 사유의 원형을 배우다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퓌타고라스부터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엠페도클레스, 데모크리토스까지 이어지는 서양 자연철학의 흐름,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를 통한 인문정신의 발흥, 그리고 동아시아의 역(易)과 기(氣) 개념, 공자의 사상, 인도의 철학적 특성을 통해 인류 사유의 원형을 만나게 된다.
이 강의는 철학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명쾌한 안내서가 되고, 이미 철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는 더욱 깊은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활동했던 사상가들이 어떻게 유사한 질문들을 던지고, 때로는 비슷하게, 때로는 완전히 다르게 답해왔는지 그 흥미진진한 대화의 현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철학사의 전체 지도를 손에 쥐다

철학을 토막토막 배워 전체 지도가 없다면, 이번 기회에 철학의 큰 흐름을 파악해 보자. 그리스 철학과 동북아 철학의 탄생부터 시작하여 철학적 사유의 기초적인 형태, 철학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들과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이 강의를 통해 여러분은 앞으로의 철학 공부를 위한 단단한 토대와 지도를 손에 쥐게 될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고대 철학자들의 지혜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들의 사유가 어떻게 오늘날의 과학, 예술, 정치, 윤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발견하는 놀라운 여정에 함께하시길!


강사소개
교재소개
- 참고문헌
◈『서양철학사』, 람프레히트, 최명관 외 옮김, 을유문화사
◈『중국철학사』, 풍우란, 까치
◈『인도철학사』, 길희성, 민음사
◈『그리스 사유의 기원』, 장-삐에르 베르낭, 김재홍 옮김, 자유사상사
◈『위진현학』, 정세근, 철학과 현실사
강좌보기
맛보기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