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회원님은 현재 PC 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 하셨습니다.
원활하게 이용을 하시려면 PC 버전으로 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www.artnstudy.com

[닫기]
이정우: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Ⅰ : 시간, 습관, 기억

검색 마이페이지
검색창 닫기

철학근현대철학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읽기 Ⅰ : 시간, 습관, 기억

■ 강의개요

"언젠가 20세기는 들뢰즈의 세기로 기억될 것이다." 푸코가 『차이와 반복』과 『의미의 논리』에 쏟아낸 찬사다. 그의 예언처럼 21세기인 오늘날까지 들뢰즈 철학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강좌는 들뢰즈 철학의 핵심사상이 담긴 『차이와 반복』 2장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칸트, 니체, 베르그송, 프로이트 등의 시간론을 배경으로 시간, 무의식, 반복의 문제를 독해하며, 특히 주체론에 중점을 둔다. 시간의 종합과 주체의 형성을 핵심 주제로 삼고, 무의식과 반복을 매개로 들뢰즈의 주체론을 읽어간다.

들뢰즈는 "차이 나는 것만이 반복되어 돌아온다"고 했다. 이 역설적 명제는 차이를 긍정하는 그의 철학의 출발점이다.

■ 강의특징

들뢰즈는 "차이 나는 것만이 반복된다"고 말했다. 모네가 루앙 성당을 계절, 시간, 기후, 빛의 변화에 따라 반복해서 그린 것처럼, A가 A′로 변화할 때 그 둘을 관통하는 A가 반복된다. 반복이 가능한 이유는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만일 완벽하게 동일했다면 더 이상 반복될 이유가 없다.

강의는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을 상세히 다루며 들뢰즈 시간론의 철학적 배경을 추적한다. 수동적 종합과 능동적 종합, 습관과 응시, 현재와 순수과거 등 들뢰즈가 구사하는 개념들의 철학사적 뿌리를 꼼꼼히 짚어간다. 이정우 선생은 칠판에 도해를 그려가며 복잡한 개념의 생성 단계와 구조를 시각화한다.

차이는 갈등과 분열의 천덕꾸러기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들뢰즈 철학의 핵심은 소수자들이 만들어내는 '차이'에 있다. 그것은 새로운 생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추천대상

현대철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들뢰즈는 반드시 거쳐야 할 철학자다. 하지만 『차이와 반복』은 철학사 전반에 대한 이해 없이는 기이한 '시'로 읽히기 쉽다. '봉쇄', '응시', '재현', '작은 자아' 같은 개념들은 각자가 하나의 개념의 장을 이루고 있어, 공간적 구도를 잡지 않으면 포착하기 힘들다.

철학사의 대강을 아는 분, 특히 칸트, 니체, 베르그송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는 분께 권한다. 들뢰즈 원전을 세미나 형식으로 읽었으나 이해하지 못한 분, 혼자 읽다가 좌절한 분들에게 이 강의는 들뢰즈 이해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수강팁

『차이와 반복』 원서를 반드시 준비해 함께 읽어가며 들어야 한다. 이정우 선생은 텍스트의 용어들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철학사적 배경을 설명하므로, 책 없이는 맥락을 놓치기 쉽다.

강의에서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을 상당히 긴 분량으로 다룬다. 일부 수강생은 이 부분이 지나치게 길다고 느낄 수 있으나, 들뢰즈 시간론의 토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강의록이 제공되므로 복습 시 적극 활용하기를 권한다.

아쉽게도 '시간의 세 번째 종합(미래)' 부분이 누락되어 있다. 이 부분은 유튜브 '국립극단 연극인을 위한 인문학 강좌'의 이정우 교수 시간론 강연으로 보충할 수 있다.

■ 수강후기에서

"들뢰즈 이해의 틀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철학사적 배경을 꼼꼼히 설명해주어 유용했다." "개념의 포도송이들을 한데 얽어 이해할 수 있었다. 탁월한 선택이었다." "귀에 쏙쏙 들어온다. 밑바닥부터 탄탄히 쌓인다."

건설적인 의견도 있다. "베르그송 부분이 너무 길어 들뢰즈가 뒷전으로 밀린 느낌." "미래 부분 누락이 아쉽다." "철학사를 모르면 어렵다." 강의의 난이도와 구성에 대한 솔직한 평가들이다.

■ 마치며

들뢰즈는 차이를 긍정한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다양한 차이를 마주한다. 나와 다른 것을 공포나 혐오로 받아들이기 쉽지만, 차이는 새로운 생성의 계기다. 차이를 긍정한다는 것은 관용이나 구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차이가 사회를 질적으로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킨다면, 우리는 차이를 부정할 수 없다.

들뢰즈 철학은 우리 삶 곳곳에 적용될 수 있다. 당신이 들뢰즈 철학을 만난다면, 이전의 당신과 어떤 차이를 갖게 되고 무엇을 생성해낼까? 프랑스 철학의 전문가 이정우 선생과 함께 들뢰즈 철학의 정수를 만나보기를 권한다.
강사소개
교재소개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김상환 옮김, 민음사, 2004)
강좌보기
맛보기
수강평